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윤석열·안철수 ‘준결승’ 불가피…국민의힘 일각선 ‘공동정부론’ 솔솔

배세태 2022. 1. 10. 11:25

尹·安 ‘준결승’ 불가피… 국힘 일각선 ‘공동정부론’ 솔솔
국민일보 2022.01.10 손재호/문동성 기자
http://m.kmib.co.kr/view.asp?arcid=0924226814&code=11121100&sid1=pol

정부 지분·공천권 등 장벽 많아
국민의당 “전혀 검토 안해” 일축
尹 “앞서가는 말” 신중한 입장
.


국민의힘 윤석열(오른쪽)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2022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대선을 59일 앞둔 상황에서 야권 후보 단일화 논의가 불가피해졌다는 관측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지지율은 급상승하면서 나온 결과다.

두 후보 모두 자력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누르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라 윤 후보와 안 후보가 ‘준결승’을 치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단일화 논의를 뛰어넘는 ‘윤석열·안철수 공동정부’ 주장까지 제기됐다. 하지만 안 후보 측은 9일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다만 정권교체 여론이 여전히 높아 두 후보를 겨냥한 단일화 압박은 시간이 갈수록 거세질 것이 확실시된다.

국민의힘 핵심 의원은 “윤석열·안철수 후보 간 단순한 단일화를 넘어 공동정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당내에서 나오고 있다”면서 “단일화 경선에서 패배한 후보도 차기 정부에 참여할 수 있어 단합된 선거운동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동정부 구상이 나오는 이유는 야권 후보 단일화의 치명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보 단일화만 밀어붙일 경우 단일화 경쟁에서 패배한 후보가 승자를 적극적으로 돕지 않을 위험이 존재한다. 하지만 공동정부 구성을 추진하면 단일화 경쟁에서 패배한 후보도 차기 정부에서 지분을 보장받기 때문에 팔을 걷어붙이고 대선에 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동정부 구성이 현실화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장벽이 한둘이 아니다. 우선 윤 후보와 안 후보가 차기 정부의 지분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 합의해야 한다. ‘나눠먹기’라는 부정적인 인식도 걸림돌이다. 두 후보가 공동정부에 합의하더라도 지지자들이 다 따라올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이와 관련해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지율이 상승 중인 안 후보로서는 윤 후보에게 국무총리직과 내각의 절반, 지방선거 공천권 일부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며 “국민의힘에서는 비판이 분명 나올 것인데 윤 후보가 이를 어떤 식으로 설득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안 후보 측은 부정적이다. 이태규 국민의당 총괄선대본부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안 후보는 야권 단일화나 공동정부 등 단일화와 관련한 어떠한 구상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안 후보도 충북 청주 일정을 소화하며 “저는 제가 당선되기 위해서 대선에 출마했다”면서 “제가 정권교체를 할 것”이라고 단일화 이슈와 거리를 뒀다.

윤 후보도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안 후보와의) 단일화를 언급하는 것은 정치 도의상 맞지 않다고 말씀 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공동정부론에 대해 “선거 운동하는데 그렇게 앞서가는 말씀은 나올 수는 있는 얘기지만, 각자 열심히 선거운동 하는 것이 맞는 그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 후보는 오는 11일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집권할 경우 국정 방향 등을 밝힐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