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국책연구기관 통일연구원 설문조사, 한국인 71% “최대 안보위협국은 중국”■■

배세태 2021. 12. 31. 20:46

통일연구원 설문조사, 한국인 71% “최대 안보위협국은 중국”
에포크타임스 2021.12.30 최창근 기자
https://kr-mb.theepochtimes.com/share/603828

中, 최대안보위협국이자 통일 바라지 않는 나라
전랑외교, 강압적 태도, 홍콩 민주화 시위 탄압, 대만 위협이 주 이유
EAI· 겐론NPO 공동 조사에서도 74% 응답자가 ‘중국 인상 나쁘다’ 답해
.


서울 중구 중국 대사관 인근에서 청년들이 홍콩 항쟁을 지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9.12.8 | 연합뉴스

한국 국민은 중국을 ‘한국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되는 국가’로 지목했다. 12월 29일, 국책연구기관 통일연구원이 공개한 ‘통일의식조사 2021: 미중 갈등의 인식’’에 따르면 응답자의 71.8%가 중국이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된다고 답했다. 이어 일본(21.1%), 미국(6.3%), 러시아(0.8%)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주변 5개국 대상 호감도 조사에서는 미국이 6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12.4%), 러시아(12.2%), 일본(9.4%) 순이었다. 북한은 6.6%에 그쳤다.

주목할 점은 정치 성향이 달라도 중국에 대한 인식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중국을 가장 큰 위협으로 꼽은 응답은 진보층 67.9%, 중도층 70.3%, 보수층 76.1%으로 나타났다. 중국을 위협국으로 꼽는 것에는 보수 중도 진보가 다 동의한 셈이다.  이를 두고 통일연구원은 “중국의 전랑(戰狼·늑대전사)외교 등 강압적이며 주변국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 홍콩 민주화 운동 탄압, 대만 위협 등이 중국을 위협적으로 느끼게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중국이 홍콩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결하려 한다’며 의견을 묻는 문항에 응답자의 69%가 동의하지 않았다. ‘홍콩의 민주화 운동은 중국 내부의 일이므로 우리는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문항엔 35%가 동의했고, 23.5%가 동의하지 않았다. ‘중국이 대만을 힘으로 병합하려 한다면, 한국은 이를 막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는 질문엔 ‘동의’ 50.9%, ‘보통’ 42.5%, ‘부동의’ 6.6%로 나타났다.

통일연구원 측은 이러한 차이를 두고서 “홍콩은 중국의 일부로 인식하지만, 대만은 중국과 다른 별개 국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이런 차이를 만드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한반도 통일 방해 국가, 즉 ‘가장 통일을 바라지 않는 나라’도 중국이 59.6%를 기록하여 1위로 꼽혔다. 이어 일본(26.6%), 미국(19.1%), 러시아(0.6%) 순이었다.

통일 의식 조사는 10월 21일부터 11월 2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대면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통일연구원 조사 결과는 2021년 9월 28일 발표한, 민간싱크탱크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겐론NPO가 공동 조사한 ‘한국인의 대중 호감도 및 비호감도’ 조사 결과와 다르지 않다. 한국인 1012명, 일본인 1000명을 대상으로 공동 진행한 조사 결과,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인상은 ‘나쁘다’가 73.8%를 기록했다. 2020년 59.4%에 비해 14.4%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


지난해 중국의 방역을 노골적으로 선전하는 영화로 국내 개봉해 논란을 일으킨 영화 ‘최미역행’의 국내 배급사로 등록된 ‘아트비전’. 해당 업체를 궁금하게 여긴 네티즌이 지도앱을 통해 밝혀낸 사진이다. | ‘네이버 지도’ 사진 캡처

동아시아연구원·일본 겐론NPO 공동 조사에서 ‘중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게 된 이유’로는 ‘사드 보복 등 중국의 강압적 행동’이 1위(65.2%), ‘한국을 존중하지 않는다’가 2위(43.8%)를 차지했다. 이 또한 군사력·경제력 등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타국에 강압적 공세를 펴는 중국의 전랑외교를 비호감 원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그 밖에 △중국 공산당 1당 지배 체제 △시진핑 등 중국 정치 지도자의 비호감 언행 △역사 갈등 △군사적 위협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