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2011년 5월4일 Facebook 이야기

배셰태 2011. 5. 4. 23:59
  • profile
    전자신문 미래기술연구센터(ETRC)가 국내 인터넷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2010 新 인터넷 조사’에 따르면, 향후 1년 이내 미디어 이용 패턴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묻자 응답자의 61.9%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 ‘블로그’가 57.8%, ‘포털 뉴스’와 ‘카페·커뮤니티’가 54.9% 순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답변했다
    www.etnews.co.kr 
  • profile
    글 : 김정남(IT 전문 멀티 라이터), 일러스트 김상인
    style.chosun.com 
  • profile
    인터넷 인맥구축서비스서비스(SNS) 사이트인 페이스북이 기업공개를 할 경우 기업가치가 1000억달러(약 106조원)에 이를 전망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사 일부 발췌
    bit.ly 
  • profile
    → 배세태 배소장님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페이스북거입만해놓고 활동은못했는대 대단하십니다.저는 부동산그럭저럭잘하고있습니다.상호는 스카이부동산이고요 요즘무었을하는지요.
  • profile
    → 배세태 스카이 공인중개사 사무소 김소장님! 안녕하세요..반갑습니다.
  • profile
    → 배세태 페이스북 기업 가치가 삼성전자와 맞먹는 1129억달러(약 120조원)로 전망됐습니다. 3일 월스트리트저널(WSJ) 온라인판 등 주요 외신은 주요 재무 소식통들이 페이스북이 기업 공개(IPO)를 한다면 1000억달러(약 106조원)를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와 비견되며, 현대자동차의 세 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 profile
    → 배세태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언급한대로 산업화 시대(생산요소 : 토지,노동,자본)에서 지식정보화 시대(생산요소 : 시간,공간,지식)로 급속히 전환되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 배세태 그래도 절대가치로는 땅에서 나는 밥한그릇의 가치도 안되는 것이지요.ㅎㅎㅎ 이렇게 꼴리는 배알을 위로하면서 산답니다. 매사를...
  • profile
    행복。☆.ⓔ♂ (☆━───*)☆━───*────────────☆
    。  ㉻루에 ▥▥▥ 한알씩!꼭 챙겨드세요..。     ~~~    
    。     ┌┘└┐**   ┏언제나건강하기┓  **│ 물│   
    。     │비☆│**   ┗언제나미소짓기┛  **│ 이│   
    。     │☆타│**   ┏언제나사랑하기┓  **│ 야│   
    。     │민☆│**   ┗언제나배려하기┛  **│ 효│   
    。   (*..)ノ└──┘**  ┌~*우리들의♧우정~┐  **└====┘   
    。────────────└~*언제나변치말기~┘。☆.ⓔ♂ ☆
  • profile
    → 배세태 땡큐^^
  • profile
    `모르는 것이 약이다`는 말이 있습니다. 반대로 `아는 것이 힘이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아는 것이 병이 되기도 하고 약이 되기도 한다니 과연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요? 정답은 아마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다를겠지요.
  • profile
    → 배세태 힘=병...이었군요..네..ㅋㅋ
  • profile

    판단하지 말고 분별하자

    자신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법은 무엇일까? 답이 어렵다면 질문을 거꾸로 돌려 생각해보자. 나는 어떻게 나의 가능성을 막고 있을까? 그렇게 생각하면 답이 의외로 쉽다. 자신의 가능성을 자신이 닫고 있다면 그 가로막고 있는 걸림돌을 제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건데 우리의 가능성을 닫아버리는 가장 큰 원인은 `나는 안 돼`, `그건 드라마나 영화에서나 나오는 거야`. `현실과 이상은 다른거야`라는 생각이다. 안 된다고 생각하면 될 일도 안 된다.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될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겠는가.

     

    자신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법은 `안 된다`, `된다`라는 판단 없이 자신을 세상에 개방해두는 것이다. 그래야 새로운 길이 보인다. 길이 보여야 어떻게 갈 것인지 생각해볼 수 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