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2011년 4월29일 Facebook 이야기

배셰태 2011. 4. 29. 23:59
  • profile
    사람과 침팬지는 500만년 전 한 조상에서 갈라져 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생물종의 유전체(게놈)는 98.77%가 일치한다. 단 1%의 차이지만 500만년 동안 인간과 침팬지를 달라지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www.hani.co.kr 
  • profile
    우리 국민 5명중 3명 이상이 블로그․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중 트위터가 즉시성․투명성․무통제성이 강해 사회적 공조뿐 아니라 정치적 참여의 효율적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한국지방발전硏 주최 '제7차 지방발전 콜로키움'
    jkn.co.kr 
  • profile
    1987, 2002. 그리고 2011년 역사를 바꾼 '넥타이 부대' 변천사
    www.asiatoday.co.kr 
  • profile
    4월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실리콘밸리 중심가 멘로파크로의 본사 이전과 함께 오는 2017까지 9400명의 직원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www.edaily.co.kr 
  • profile
    → Setae Bae 재미있게 읽었습니다ᆢ옛날 최초인류는 인부일처가 아니라서 설득력은 조금떨어지는듯ᆢ그치만 재미는 Good..^^
  • profile
    당신의 미래가 행복하고 풍요롭고 아름다운 인생으로 설계되기 바라는 마음을 가져 봅니다..풍요롭고 아름다운 인생····그것은 바로 당신의 몫입니다.
    "인생이란 수많은 비빌번호를 맞춰가는 열쇠와 같다" 고 합니다. 그만큼 비밀의 숫자 조합이 어렵다는 것으로도 표현됩니다. 그렇다고 슬롯트머신과 같이 "언제가는 숫자의 조합이 맞겠지" 하는 
  • profile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마라," 이 말은 주식투자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제는 한가지 직업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투잡을 원하지만 마땅한 대안을 찿지 못하고 있을 것입니다.당신의 10년 후 모습을 생각해 보십시요! 그러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 배세태-몬토토(주)//소셜 네트워크(SNS) 마케팅 비즈 
  • profile
    `돈을 벌려면 돈이 지나다니는 길목을 지켜라` 라고 합니다. 그리고 또 `돈을 벌려면 남 보다 한 발 앞서서 그 시대의 흐름에 맞춰서 돈을 버는 방법을 바꿔라` 고도 합니다. 아무리 경기가 어렵더라도 결국 어딘가로 흐르고 있습니다. 일단 돈의 길목이 어디인지, 즉 돈이 어디로 흐르는지 알아보려면 사람들이 주로 어디에다가 많은 돈을 쓰고 있는지 그것을 알면 됩니다. 어딜까요?
  • profile
    → Setae Bae 그걸 알면..여기 이렇게 앉아서 있것슈?...ㅋㅋㅋ
  • profile
    → Setae Bae 이제는 앉아서(PC기반), 걸으면서(모바일 기반) 돈버는 시대가 왔습니다. 페북 열심히 하셔서 인맥 잘 구축해 놓으면 돈보따리 싸들고 오는 관련기업이나 1인기업가(CEO 소비자)들이 있을 것입니다.
  • profile
    생산과 유통, 소비 등 모든 것에서의 대변혁을 특징으로 하는 FTA와 유비쿼터스 시대를 위해 지금 여러분은 어떠한 준비을 하고 있습니까?!!! FTA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업종에 관계없이 누구나 대비해야 합니다.
    news.mk.co.kr 
  • profile
    정통적인 경제학 교과서 이론 갖고는 도저히 설명될 수 없는 혁명적인 현상이 세계 최강 온라인 제국 대한민국에서 모바일과 소셜웹이 현실세상(오프라인)의 도처를 점령하는 `무혈의 혁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녀간(약 11년) 인터넷에 흐르는 기본적인 정신, 내용, 원리를 습득한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볼 때 웹1.0과 웹2.0은 확연히 구분이 되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현대 산업과 기술이 복잡해지고 경계가 파괴되면서 비즈니스의 특성이 급격히 변하고 있습니다. 산업간 융합, 직종간 융합 등 메가 융합현상 및 이로 인한 새로운 직종 탄생으로 인하여 산업간, 직종간 경계선이 모호해짐에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자들 역시 퇴조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 profile
    샐러리맨과 자영업자의 위기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문명의 전환에서 오는 구조적인 것입니다. 지식·정보사회에 이르면 소위 ‘널리지 워커(Knowledge Worker)’ 들이 늘어날 것 같지만, 산업사회의 기계화가 육체노동자를 몰아낸 것처럼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컴퓨터와 웹,로봇이 향후 10년내 90% 이상 유관 자영업과 샐러리맨의 중간층 지식노동자를 몰아내는 결과를 가져 올것입니다.
  • profile
    `확실한 죽음` 보다는 `불확실한 생존`에 모든 것을 걸 때가 되었습니다..산업화 사회/아날로그 시대(노동,토지,자본)에서 생산수단에서 약자이었지만 지식·정보화 사회/디지털 시대(시간,공간.지식)에서는 강자가되어 부와 퐁요를 누릴 수 있습니다.
  • profile
    → Setae Bae 아주 훌륭한 지적입니다. 그러므로 컴퓨터가 할 수 없는 융합적 지식과 콘텐츠의 개발과 발굴 활동이 중요한 조류가 될 것입니다.
  • profile
    "생각(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어야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어야 성품이 바뀌고, 성품이 바뀌어야 운명이 바뀐다"고 했습니다. 아날로그 패러다임으로는 운명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 profile
    → Setae Bae 아 그렇겠군요.. 기업의 지속성을 위해 어떻게 해야할지 더 고민해볼랍니다..
  • profile
    → Setae Bae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상호교환하는 세상으로 바뀌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합의 속도와 결론이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나타나지만 그 것이 결코 내용을 반드시 결정짓는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성공에 적한한 타임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profile
    소셜웹과 모바일 기술의 진화로 미디어 환경과 비즈니스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된 유비쿼터스 시대에 과연 어떤 정보를 가지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여 자신의 경제적 부를 이룰 것인가는 누구나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될 중대한 사안입니다. 왜냐하면 그와 관련된 정보들을 잘 활용하는 사람들은 미래 사회에서 경제적 강자가 되겠지만 , 그렇지 않고 그냥 흘러버리는 사람들은 경제적 약자로 전략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profile
    → Setae Bae 독서의 힘입니까? 경험의 힘입니까? 미래를 읽는 동물적 감각입니까? 확신과 근거가 모두 느껴집니다...
  • profile
    아날로그 시대의 사고방식과 행동습관으로는 지식정보화로 대변되는 디지털 시대에서는 살아가기가 힘들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21세기의 디지털 격차는 정보의 격차를 의미하며, 정보의 격차란 동일한 정보를 알고 있더라도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차이로 규정됩니다. 앞으로의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어디로 갈 것인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야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미련을 두고 미래의 번영을 바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지요..
  • profile
    → Setae Bae 옳으신 말씀입니다. 그래서 크게 두형태로 나눕니다. 친환경 친인간적 친지구적 인 사람과 환경에 도움이 되는 패러다임 과 새로운 디지털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응용력을 높이는 패러다임 이것이 혼재된 인재가 필요하게 될거라고 전 생각합니다.
  • profile
    프로슈머란 생산자인 프로듀서(producer)와 소비자인 컨슈머(consumer)를 합한 신조어로, 앨빈 토플러가 ‘제3의 물결’ 에서 처음 제시한 컨셉트입니다. 토플러는 최근(2006년) 저서 ‘부의 미래’ 에서도 스스로 생산해서 스스로 소비하는 프로슈머의 등장을 ‘부의 혁명’의 중요한 현상으로 강조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프로슈머 경제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백만장자가 수두룩하게 나타날 것이며, 프로슈머는 앞으로 다가올 경제의 이름 없는 영웅”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부자들은 투자로 돈을 레버리지 하지만 평범한 보통사람(서민)들은 `CEO 소비자(프로슈머 소비자)`가 되어 e-배가(e-compounding)로 시간과 노력을 레버리지 하여야 합니다.
  • profile
    → Setae Bae 이 문구는 저도 엄청 좋아하는 문구입니다..
  • profile
    → Setae Bae 제 생각엔 오히려 환경친화적인 제조업과 조그맣더라도 에너지 관련 사업이 돈을 많이 벌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profile
    → Setae Ba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 Setae Bae 독서, 경험, 미래예측....감사합니다.
  • profile
    → Setae Bae 저도 좋아하는 문구입니다..
  • profile
    → Setae Bae 그렇군요..
  • profile
    → Setae Bae 녹색 산업이 미래 주력 산업이 되겠군요..
  • profile
    → Setae Bae 선사시대는 모계사회인데..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