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현대경제연구원,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성공 조건’

배셰태 2011. 4. 21. 21:05

현대경제연구원,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성공 조건’

K모바일 IT/과학 2011.04.20 (수) 

 

경제 성장과 더불어 근로자들의 업무와 삶의 질 조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새로운 근무 형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노동시간당 GDP는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근로자들의 현실도 고려된 것이다. 또한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시·공의 제약 없이 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업무상 보안 문제도 해결 가능한 새로운 근무 환경 구현이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정부도 새로운 형태의 근무 제도로서 스마트 워크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다.

(스마트 워크 개면 및 도입 현황)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이란 전통적인 사무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업무 공간을 신축적으로 이용하는 근무 제도로서, 재택근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모바일근무, 스마트 워크센터 근무 등이 있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 워크를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선마이크로시스템, BT(British Telecom) 등이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원격근무를 도입한 사업체가 극히 미비하여 스마트 워크 활용도가 10%대에 이르는 선진국과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기업이나 근로자 모두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의 스마트 워크센터) 스마트 워크센터는 스마트 워크의 일종으로 회사나 자택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원격 근무를 수행하는 제도이다. 기존 재택근무제도와 유사하지만 여러 면에서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스마트 워크센터를 통해 회사는 업무 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근로자는 시간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업무와 삶의 질 균형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사회적 관점에서도 출퇴근 정체 감소로 인한 혼잡 비용 절감과 CO2 절감에 따른 환경 문제 해소 등의 장점이 있다.

사례 1: Fairfax County(근로자 관점의 업무적합성 고려) Fairfax County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스마트 워크를 원하는 근로자들의 업무 적합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점이다. Fairfax County는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 참여 가능 업무 리스트를 단순히 제공하지 않고 참여자의 개인, 업무, 동료와의 관계 등 3가지 관점에서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을 위해 직무 분석을 선행하고 이를 통해 적합한 업무를 찾아내어 각 근로자에게 배분하는 프로세스를 거치고 있는데, 스마트 워크를 수행할 당사자는 관리자가 아닌 근로자 자신이다. 따라서, 업무나 자신이 스마트 워크에 적합한지에 대한 자기 평가가 필수적이다.

사례 2: Dow Corning사의 Home Office 제도(적절한 IT기반의 활용) Dow Corning사의 Home Office 제도는 IT 기반 환경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스마트 워크를 정착시켰다. 다우코닝사가 스마트 워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사와 생산시설, 판매 및 서비스 활동을 연결하기 위한 글로벌 IT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mySAP ERP 2004, Enterprise Central Component (ECC) 6.0을 통해 어느 나라에서나 어느 시간대에서나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초기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업무 효율성이나 직원 만족도 측면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레 3: KPMG LLP 사례(스마트 워크에 적합한 조직문화 구축) 성과위주의 관리자들은 스마트 워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마트 워크를 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주지 못하도록 인사 지침 등을 통해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 KPMG 리더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해야 하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을 위한 규정 마련, 성공 사례 알리기 등의 조직구성원들의 인식 전환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했다. 이를 통해 KPMG는 스마트 워크에 적합한 조직문화를 구축할 수 있었다.

사례 4: 네덜란드의 SWC 사례(정부와의 적극적인 연계) 네덜란드는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한 재단을 통해 스마트 워크센터 인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네델란드의 경우 네델란드의 경우 전체 사업체의 49%가 스마트 워크센터를 활용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설립한 Double U Smartwork Foundation을 통해 스마트 워크센터로 인증해주는 제도에 도움을 받았다.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첫째,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은 기업, 근로자, 정부 3자간의 여건이 성숙해야 성공 가능하다. 둘째, 스마트 워크에 적합한 업무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근로 당사자의 프로그램 적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 워크에 적절한 IT 기반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정부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인사관리 제도의 개선 등을 통해 스마트 워크에 적합한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 [장후석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