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노동당 전원회의 핵심 단어로 본 북한 "현 정세 난관, 자력으로 정면돌파"●●

배셰태 2020. 1. 2. 08:14

전원회의 핵심 단어로 본 북한 "현 정세 난관, 자력으로 정면돌파"

VOA뉴스 2020.01.02 지다겸 기자

https://www.voakorea.com/a/5228523.html

 

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이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를 주재했다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30일 전했다.

 

2020년 신년사를 대체한 김정은 위원장의 노동당 전원회의 보고에서 나타난 북한의 올해 핵심 단어는 `정면돌파’ 입니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자력’이란 단어가 정면돌파 다음으로 가장 많이 거론됐습니다.

 

<중략>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보고에서 현 정세의 엄중함을 강조하면서 제재를 포함한 난관을 타개하기 위한 ‘투쟁 방향’ 으로 ‘정면돌파전’을 제시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김 위원장이 “현 정세와 혁명 발전의 요구에 맞게 정면돌파전을 벌릴 데 대한 혁명적 로선을 천명”했다고 전하며, 정면돌파 혹은 정면돌파전을 총 22번 언급했습니다. 이로써 정면돌파는 올해 북한의 정책 방향과 관련해 가장 주목되는 단어로 떠올랐습니다.

 

지난달 31일까지 나흘간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에서 논의된 첫 번째 안건은 “조성된 대내외 형세 하에서 당면한 투쟁 방향”이었습니다. 이후 김 위원장은 “우리의 전진을 저애하는 (저해하는) 모든 난관을 정면돌파전으로 뚫고나가자”는 다짐을 구호로 제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자력’은 ‘정면돌파전’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23차례 등장하면서 ‘자력 갱생,’‘자력 부강,’ ‘자력 번영’ 등의 맥락에서 쓰였습니다.

 

김 위원장은 세기를 이어온 미-북 대결이 “오늘에 와서 자력 갱생과 제재와의 대결로 압축되여 명백한 대결그림”을 그리고 있다며, 미-북 관계에서 자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 ‘정면돌파’와 ‘자력’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현 ‘정세’를 반복해서 언급했고, “미국과의 장기적 대립을 예고하는 조성된 현 정세” 라는 표현까지 쓴 점이 주목됩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정세’라는 단어를 11차례 언급했고, 비슷한 단어로 ‘난국’ (4), ‘형세’ (2), ‘환경’ (3), ‘국면’ (2)이 미-북 관계 교착 상태의 맥락에서 총 11차례 등장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또 전원회의에서 대외정세로 인해 조성된 ‘난관’을 강조했는데, 이는 보도 내용에서 13차례 언급됐습니다. 아울러 어려움을 의미하는 ‘도전’ (5), ‘장애’ (2), ‘곤란’ (2), 그리고 ‘고통’ (1)과 같은 단어도 총 10차례 등장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김 위원장이 “주객관적인 장애와 난관을 전면적으로 심도있게 분석평가하고 사회주의 건설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결정적 대책을 강구할” 취지로 전원회의를 소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핵 협상 교착 사태로 인한 어려움을 ‘정면돌파전’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며, 새로운 노선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녹취: 중방]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의 기본사상, 기본정신은 정세가 좋아지기를 앉아서 기다릴 것이 아니라 정면돌파전을 벌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북한이 겪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적대세력’들의 ‘제재’를 꼽고, 미국을 ‘날강도,’ ‘파렴치’로 지칭하며 대미 비난을 이어갔습니다. ‘적대’라는 단어는 ‘적대세력,’’대조선 적대시정책,’’적대적 행위’ 라는 맥락에서 13차례, ‘제재’는 11차례 언급됐습니다.

 

김 위원장은 북한이 “앞으로도 적대세력들의 제재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기정사실화” 한다고 말했습니다.

 

전원회의에서 미국이 북한에 가하는 ‘위협’이라는 단어는 5차례 등장했고, 이 가운데 ‘핵 위협’으로 쓰인 것이 3 차례 입니다. 이 단어는 북한에 대한 “야만적이며 비인간적인 제재와 지속적인 핵 위협”과 “군사정치적 위협” 이라는 맥락에서 사용됐습니다.

 

북한이 체제안전과 자주권 보장을 반복적으로 강조한 것도 주목됩니다. 관영매체 보도에서 ‘존엄,’ ‘안전 혹은 안전보장’, 그리고 ‘자주권’이란 말은 미-북 대치의 맥락에서 각각 5차례, 9차례, 6차례 등장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미국이 대화와 협상을 진행하는 척 하면서 제재를 계속 유지해 북한의 힘을 약화시키려 한다고 주장하면서, 북한의 체제 안전보장을 강조했습니다.

 

[녹취: 중방]그러시면서 우리는 우리 국가의 안전과 존엄 그리고 미래의 안전을 그 무엇과 절대로 바꾸지 않을것임을 더 굳게 결심하였다고 강조하시였다.”

 

특히 ‘존엄, ‘안전,’ 그리고 ‘자주권’ 이란 단어는 미국의 ‘적대적 행위’에 맞서 북한이 경고한 ‘새로운 전략무기’ 개발과 연관돼 거론됐습니다.

 

김 위원장은 미국의 ‘적대적 행위’와 ‘핵 위협’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시적 경제 성과를 위해 미래의 안전을 포기할 수 없다며, 전략무기 개발은 “국가안전을 위한 필수적이고 선결적인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평화’라는 단어는 비핵화와 함께 ‘조선반도에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제시했던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합의를 거론하면서 단 한 차례 언급됐습니다.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