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집단지성의 시대 협업활동을 열심히 배워야될 것 같네요..korea2050.net
-
반갑습니다 친구수락 감사드려요^^*
-
아날로그 사회에서의 정보 법칙은 `정보의 윤택성과 도달성은 서로 반비례하며 이를 동시에 달성하려면 많은 비용과 시간,노력이 필요하다` 는 것입니다. 정보의 윤택성(Richness)은 정보의 깊이 를 말하는것으로 사람들에게 깊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보의 도달성(Reach)은 정보 전달 폭을 말하며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느냐를 뜻합니다. 페이스북이라는 획기적인 글로벌 소통 수단의 출현으로 시간과 거리라는 아날로그적 장애가 극복되자 이러한 정보 법칙은 붕괴되고, 시간 .거리의 동시 충족이 가능한 듣지도 보지도 못한 희안한 글로벌 디지털 정보 법칙이 출현 하였습니다.
-
어제,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다음(daum) 요즘의 글을 제 블로그에 저장한 내용입니다.마케팅 홍보 등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만 합니다.u-칭기즈칸 12:46|yozm "스티브 잡스, 깜짝 등장 영상 공개":http://www.etnews.co.kr/201103040169 지난 3일(한국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이패드2 설명회에 스티브 잡스
-
어제,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트위터의 글을 제 블로그에 저장한 내용입니다.마케팅 홍보 등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만 합니다.
ginsengberry 07:52|twitter @hyunbinj @eunninoyoon @joyusna @good_day100 @thinkeasy1 @onnuri042 @leejaeyung1 @BigVirus1 @bstaebs -
어제, 다음(daum)에서 페이스북의 글을 제 블로그에 저장한 내용입니다. 마케팅 홍보 등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만 합니다. 2가지 저장방식 중 <1)일 단위로 취합하여 등록, 2)게시물 1개 씩 개별> 중 전자를 선택한 것입니다.
Sungsoo Kim 11:28|facebook 멋진분과 만나뵙게되어 고맙습니다 Setae Bae 11:48|facebook → Setae Bae 친구수락 고마워요, 가족 모두가 행복이 가득 넘치기를 바랍니다. 박연범 11:4 -
이젠, 소셜 웹이라는 새로운 사회적인 툴이 등장했고 오픈 컬처라는 새로운 문화, 관계의 역학이 성장했습니다. 세상이 바뀌었습니다. 정체된 한국 인터넷은 T(트위터). G(구글). I(아이폰). F(페이스북)로 알려진 해외 서비스들의 주도로 갑작스러운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선물, T.G.I.F.이기도 합니다. 새로운 위기와 기회가 시작되었습니다. 소셜 웹은 개인이 지닌 잠재력과 창조적인 집단 지성의 실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래 사회의 혁신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개방화와 정보의 민주화 시대에 우매한 군중이 아닌 디지털 시대의 강자가 되어 네트워크 경제에서 부와 풍요를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
창의적인 사이버상의 네트워크를 파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젊은 청년들이 많이 나와야한다. 국익은 자동차나 전화나 팔아서 하는 것이 아니고, 이제는 네트워크를 팔아서 해야한다. 이렇게 하기위해서는 한국적인 사고가 아닌 글로벌사고를 해야하고, 영어를 잘 구사하는 인적 자원이 필요하며, 이들이 다양한 웹을 만들수 있도록 모든 제재를 풀어줘야한다. 한국에서도 수많은 마크 주크버그라 탄생하기를 기대해 본다.<기사 일부 발췌><박영숙의 미래뉴스>골드만 삭스, SNS 통한 혁명 진화위해 인수 제안 월스트리트 분석가들 "마크 주커버그 서둘러 팔지 않을 것" 전망 <중략> 한국에서도 누군가 마크 주크버그처럼 페
-
→ Setae Bae 음 왠지 제가 마음에 새겨야 할 좋은 글귀인것같아 마음에 확 와닸습니다
'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 > 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3월10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03.10 |
---|---|
2011년 3월9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03.09 |
2011년 3월7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03.07 |
2011년 3월6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03.06 |
2011년 3월5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