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의 '탄핵 문제 있다'에 여당 반발
올인코리아 2019.02.20 조영환 편집인
http://m.allinkorea.net/a.html?uid=39210&page=1&sc=&s_k=&s_t=
네티즌 '조직적 반란, 탄핵 무효' 여당 비판
더불어민주당은 20일 자유한국당 황교안 당대표 후보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대해 ‘절차적 문제’, ‘타당치 않다’ 등으로 언급한 데 대해 “국민 모독”, “역사 퇴행 발언”, “대단히 정당하지 못한 자세”라는 등의 비방을 퍼부었다.
앞서 황 전 총리는 19일 TV조선에서 열린 당대표 후보 3차 방송 토론회에서 “법원에서 형사 사법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이뤄진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해서 절차적 문제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객관적 진실이 명확하지 않은데 정치 책임을 묻는다고 해서 쉽사리 탄핵을 결정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20일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여야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탄핵 소추가 이뤄졌고 헌법재판관 만장일치로 탄핵이 결정된 바 있다. 황 전 총리도 당시 담화문을 통해 ‘탄핵 결정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내려진 것으로 헌재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며 “이제 와서 탄핵이 잘못됐다는 건 명백한 자기부정이고 민주주의 수호한 국민 모독이다. 헌법과 민주주의 정신 존중 안하는 정당은 존속할 가치가 없다. 헌법과 민주주의 부정한 역사 퇴행에 통렬한 반성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비판했다고 조선닷컴은 전했다.
<중략>
하지만, 대다수 조선닷컴 네티즌들은 더불어민주당에 동감하지 않았다. <황교안 ‘朴탄핵절차 문제’ 발언에 與 “대국민 사과하라”>라는 조선닷컴의 기사에 한 네티즌(reds****)은 “탄핵도 여론 선동 몰이로 헌재 판결까지 인민재판식으로 영향을 미쳤다면 판결이 무효 아닌가”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jaele****)은 “저 ㅅㄱ꾼들이 김경수에게 유죄 판결한 재판부는 적폐이고, 황총리가 절차문제 발언한 것을 문제 삼고 있다”라고 여당의 적반하장을 비판했고, 또 다른 네티즌(chos****)은 “문제인, 더불당이 실정한 것에 대해 대국민 사과하고 물러나라”라고 했다.
또 한 네티즌(c****)은 “너희들이 사과할 것 나열해본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최저임금 왕창 올려서 자영업자 도산하게 한 것, 원전 폐기한다 해서 1조원 가까히 손해난 것, 손혜원 사건, 서영교 사건, 청와대 불법사찰 건(김태우), 신재민 공익제보 폭로건, 환경부 불랙리스트 건 등등 이루 말할 수 없다. 사과 안 하냐?”라고 문재인 탄핵 거리를 열거했고, 다른 네티즌(kr****)은 “정치인 중 노동운동 한사람은 진실로 노동운동 한 것이 아니라 정치꾼이 되기 위한 지름길을 택한 것입니다”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hy****)은 “탄핵 무횬데, 뭘 그러나?”라고 했다.
그리고 한 네티즌(rnfma****)은 “조직적 반란으로 불법감금 당한 박 대통령을 복위 기필코 헌정질서를 바로 잡아야”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lee****)은 “황교안, 무슨 약점을 잡혔기에 여당 탄핵 정권탈취 세력이 한마디만 하면 꼬리를 내리고 굴복을 하는가? 교활한 기회주의적 처신의 소치인가? 참으로 비굴하고 비겁하다”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qh****)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은 대한민국 헌법을 무시한 것이고, 민노총 청부언론의 여론 조작과 사기로 이루어진 것. 부끄러운 줄도 모르는 종북 좌파들 얼마나 가나 보자”라고 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장수의 뉴스브리핑] 정신병원 폐쇄병동에 49일간 갇힌 신재민...이게 파시즘 국가 아닌가! (0) | 2019.02.21 |
---|---|
■■김경수엔 공포탄, 우파엔 총질…‘좌익 X맨’ YS키즈, 자유한국당 궤멸시키다■■ (0) | 2019.02.21 |
[VOA 한국어] 전체보기: VOA 뉴스 2월 21일 (0) | 2019.02.21 |
●북한 비핵화 서두르지 않는 트럼프, 현실적 전략으로 전환 시사…기대치 낮추려는 의도 (0) | 2019.02.21 |
[김영호교수의세상읽기] 미국 의회, 북핵 장기화 대비 '트럼프-문재인 리스크' 관리에 들어가다 (0) | 2019.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