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미국 국방부 고위관리 “미국, '비핵화 거부시' 김정은 정권 바꿔버릴 수 있다”■■

배세태 2018. 11. 9. 21:45

“美, 김정은 정권 바꿔버릴 수 있다”

아시아경제 2018.11.09 이진수 선임기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0907505994364


美 국방부 고위관리 “비핵화 거부시”…“완전한 비핵화는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것”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8월 29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의 비행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컴퓨터 모니터 옆에서 화성-12형 발사 과정을 참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계속 거부할 경우 미국은 북한 정권교체를 정책으로 추진할 수도 있다고 미 국방부의 한 고위관리가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RFA는 해당 고위관리의 이름을 공개하진 않았다.

 

그는 이날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북한 관련 토론회 중 “완전한 비핵화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것”이라며 사견임을 전제로 “현재 북한 정권교체가 미국의 대북정책은 아니지만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계속 거부한다면 미국은 기존 입장에서 선회해 북한 정권교체를 대북정책으로 삼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은 ‘완전한 비핵화’라고 강조한 셈이다.

 

그는 “올해 들어 주요 한미 연합군사 훈련이 유예된 뒤 미 국방부가 군사적 준비태세 약화 상황을 완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며 “100여개 보병사단, 서울을 조준하고 있는 수천 문의 장사정포, 잠수함 같은 북한의 재래식 무기 위협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군사합의서에 따라 공동경비구역(JSA)이 비무장화하고 군사분계선 상공이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된 것은 남북간 신뢰구축을 위한 긍정적 조치”라면서도 “그러나 한반도에서 유엔군 사령부와 주한미군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참고요]

▲ 카다피는 그래도 순순하게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를 즉각 받아들이고 그나마 8년의 시간을 번 후에 이렇게 죽었다. 어쨌든 현대 사회에서 인민을 괴롭히는 독재자의 운명은 비극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 김일성과 김정일이 운좋게 피했다고 얘기하겠지만, 결국 손자, 자식이 그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시진핑과 그 가족들, 친구들도 어쩌면 피해갈 수 없을 운명일 수가 있다


 

▲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를 즉각 받아들이지 않으면 카다피가 아니라 후세인처럼 되는 것이 또한 6개월내로 김정은이 맞이할 운명이다. 시진핑은 눈치도 없는지 이런 비극적 운명을 앞둔 김정은과 덕담을 나누면서 미국인들의 반중감정을 더욱 부추기고 다니는 상황이다. 사실, 시진핑도 역시 류사오보 탄압 문제 때문에도 결코 좋은 결말을 맞이하기는 쉽지 않다. 일본 언론들은 시진핑이 암살당할 가능성을 진지하게 내다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