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일본 산케이, “문재인 평화쇼는 판 깨졌을 때, 미국의 북폭 막으려는 것”■■

배셰태 2018. 5. 7. 09:28

日 산케이, “문재인 평화쇼는 판 깨졌을 때, 미국의 북폭 막으려는 것”

미디어워치 2018.05.06 신규양 기자

http://mediawatch.kr/mobile/article.html?no=253299

 

문재인과 김정은의 이번 판문점 선언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마치 북한이 미국과 한반도에서 대등한 입장에서 핵군축이라도 하자는 듯 한 모호한 표현이 등장했을 뿐, ‘북핵 폐기’가 명확히 언급되지 않았다.

 

‘북핵 폐기’가 제대로 언급되지 않은 점도 그렇지만 이번 판문점 선언의 가장 큰 흠결은 ‘북한 인권’에 대해서 아예 비슷한 뉘앙스의 언급조차 없었다는 점이다. 북한 주민들이 수시로 침해당하고 있는 인권 문제는 그렇다 치고, 한·미·일 납북피해자 문제조차 판문점 선언에 일체 거론되지 않았던 것은 문제가 크다.

 

이에 대해서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 산케이(産経)는 2일자로 ‘인권·핵 폐기가 빠진 ‘판문점 선언’(人権・核廃棄なしの板門店宣言)‘  제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레이타쿠(麗澤) 대학 교수의 비판 칼럼을 게재했다.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는 납북일본인 문제와 북한 주민 인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상징과 같은 인사로 '북한에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전국협의회(北朝鮮に拉致された日本人を救出するための全国協議会)'(약칭 구출회(救う会)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반도 문제와 관련 일본 사회에 계속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어 아베 신조 총리의 브레인 5인방 중 한 사람으로 꼽히기도 한다.

 

 

▲ 산케이(産経), 5월 2일자 기사 ‘인권·핵 폐기가 빠진 ‘판문점 선언’(人権・核廃棄なしの板門店宣言)‘

 

‘인권문제’가 실종되어 가능했던 남북회담에서의 ‘남북화해’ 연출

 

<중략>

 

북한이 한국인들에게 ‘평화’ 기대를 높인 것은 미북회담 결렬시 군사옵션 견제용일 가능성

 

<중략>

 

북한이 아무런 변화가 없음은 명확, 결국 미북회담 준비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더구나 최근에 북한이 취한 조치를 본다면 ‘한반도 비핵화’의 의미는 김일성 당시보다 훨씬 더 안 좋은 의미로 생각될 수 밖에 없다.

 

일본에서는 주목받지 않지만, 선언에는 ‘비핵화’를 기술한 내용 이후에 “남과 북은 북측이 취하고 있는 주동적인 조치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단히 의의 있고 중대한 조치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라는 부분이 있다.

 

여기서 “북측이 취하고 있는 주동적인 조치”는 4월 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핵과 미사일실험 중단, 핵 실험장 폐기를 결정한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결정과 관련 북한은 핵 실험 중단의 이유에 대해서 “국가 핵무력이 이미 완성되었다”고 했다. 핵 보유 선언을 한 것이다.

 

<중략>

 

하지만 북한이 부닥친 상황도 만만치는 않다. 니시오카 교수는 “서울에서 북한 자유주간 개막식을 하는 무렵, 볼턴 미국 대통령 보좌관이 미국의 TV에 출연하고,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리비아식’을 다시금 요구했다”며 “볼턴 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은 쉽게 양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못했던 ‘핵미사일 완전 폐기와 모든 피랍 피해자 귀환’이란 약속을,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회담을 통해) 김정은과 할 수가 있을까”라고 물으며 “그것을 못 하면 우리는 군사 긴장 고조라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다”고 지적하며 칼럼을 맺었다.

 

일본의 북한인권운동가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 관련 미디어워치의 기사들 :

 

日 산케이, “김정은의 단기전 승부는 통치자금의 고갈이 원인”

 

납북피해자 문제와 관련 미디어워치의 기사들 :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