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북한 김정은 신년사 , 한국엔 손짓·미국엔 위협...한미 대북공조 균열 우려 제기■■

배셰태 2018. 1. 1. 14:39

北김정은, 南엔 손짓·美엔 위협…"한미 조율 중요"

연합뉴스 2018.01.01 이상현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POD&oid=001&aid=0009784444

 

일각선 한미 대북공조 균열 우려 제기…"이견 관리가 숙제"

 

신년사 발표하는 김정은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1일 오전 9시 30분(평양시 기준 9시)에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서 육성으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2018.1.1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한국과 미국을 향해 상반된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향후 한미간 대북정책 조율의 중요성에 관심이 쏠린다.

 

김정은은 이날 신년사에서 "미국 본토 전역이 우리의 핵 타격 사정권 안에 있다"면서 "핵 단추가 내 사무실 책상 위에 항상 놓여있다는 것, 이는 위협이 아닌 현실임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고 위협했다.

 

그는 반면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우리는 민족적 대사들을 성대히 치르고 민족의 존엄과 기상을 내외에 떨치기 위해서라도 동결상태에 있는 북남관계를 개선하여 뜻깊은 올해를 민족사의 특기할 사변적인 해로 빛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과적 개최를 기대한다면서 "대표단 파견을 포함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북남당국이 시급히 만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을 향해서는 지난해 핵무력 완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책상 위의 핵 단추'라는 표현으로 위협의 강도를 높인 반면, 한국을 향해서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하는 대화 제안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김정은의 이와 같은 언급은 무엇보다 거듭된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로 어려움을 겪는 현 상황을 한국과의 대화를 통해 타개해 나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나아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강한 대북 제재 기조를 이어가는 상황에 남북대화를 고리로 점차 북미대화의 문을 열어나겠다는 의도가 담겼다는 분석도 있다.

 

<중략>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PG)

 

하지만 일각에서는 '북핵불용'의 입장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힘을 모아온 한미간의 공조 구도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할 수 없으며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추구하는 트럼프 행정부와, 기본적으로는 이와 입장을 같이하면서도 북핵 문제의 당사자로서 평화적 문제 해결을 추구해야 하는 문재인 정부 사이의 대북 대화 추진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번 김정은의 신년사는 한미간 균열을 노린 측면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