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들이 스마트폰을 쓰시다가 어려움을 많이 토로하시죠? 폰이 자꾸 통화 중에 꺼진다고 해서 알아봤더니 통화하시면서 자꾸 얼굴로 통화끊기를 누르셨던 것부터해서 앱을 활용하고 싶어하시는데 앱 하나 하나 제대로 다 설명 드릴 수도 없고...
이렇게 스마트 폰 서비스 활용에 연령, 지역, 소득 수준 등으로 정보 격차가 확대되는 것을 줄이고자,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스마트 모바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무선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력, 서비스 활용능력이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과 고연령층, 저소득층 등 스마트 모바일을 활용하는 데 부담을 갖고 있는 계층에 초점을 맞추어 마련되었다"고 밝혔는데, 자세한 방안을 살펴볼까요?
스마트폰 교육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스마트 모바일 관련 교육자료를 제작해 보급하였고, 전국 14개의 전파관리소별 직원을 선정, 스마트 모바일 전문강사를 육성하였으며, 이통사(KT, SKT), 제조사(삼성), 한국인터넷진흥원 등과 함께 스마트 모바일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 및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을 위해 전국 어디서나 이용가능한 ‘찾아가는 교육서비스’를 제공이라 합니다.
특히, 스마트 모바일 활용 교육은 집합교육과 방문교육으로 나누어 진행된다고 합니다. 집합교육은 기 수립된 교육계획에 따라 신청인이 온라인 SMAC(http://smac.kr)에 접속하여 교육일정, 교육장소 등을 확인한 후 교육신청을 하면되고, 방문교육은 10인 이상의 모임, 단체 등이 온라인 SMAC(http://smac.kr)에 접속하여 교육일시, 교육장소 등을 지정한 후, 담당자의 상담을 거쳐 교육일정이 최종 확정됩니다. 교육신청은 바로 오늘부터 가능하다고 하니, 서둘러 확인해 보세요^-^
주요 교육내용
- 스마트 모바일의 특징 및 주요 기능 활용방법, 유용한 앱(응용서비스) 소개, 무선인터넷 관련 기초지식 등 교육문의 - 02-405-6638, smartedu@kisa.or.kr |
장애인과 저소득층 스마트 폰 서비스를 더욱 쉽게
장애인과 저소득층의 스마트 폰 서비스 접근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통사(KT, SKT)와 협력하여 내년도 최대 60여개의 복지시설 등에 무료 무선랜(WiFi)을 구축합니다.
또한, 문자메시지를 읽어주는 TTS(Text to Speech) 기능 등을 내장한 장애인용 휴대폰 보급사업(LGU+)을 지속 추진하여, 무선인터넷의 보편적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스마트 모바일을 활용한 공공복지 향상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스마트 모바일 응용서비스 개발 및 기술개발을 지원합니다
민간영역에서 자발적인 투자를 기대하기 어려운 장애인, 고연령층,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응용서비스 12건에 대해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와 함께 내년초까지 개발을 지원하고, 스마트 모바일 기술 및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관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스마트 모바일 활용격차를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스마트 모바일 이용자 층을 확대하고 스마트 모바일의 생산적 활용을 촉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또 다양한 맞춤형 응용서비스의 개발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월드그린에너지포럼` 관련기사 (0) | 2010.11.18 |
---|---|
페이스북, 국내서 방문자 수 트위터 앞섰다 (0) | 2010.11.17 |
MVNO 본격 시행...다량구매할인 도입 (0) | 2010.11.17 |
SKT, 애플-`아이폰4 · 아이패드` 올해 출시한다 (0) | 2010.11.17 |
스마트폰 혁명 시작에 불과…내년 한국시장 급팽창할 것 (0) | 201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