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자산' 있어야 100세 시대 성공한다
조선일보 2017.02.18 배정원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7021701750&www.google.co.kr
다가온 100세 시대… 무형자산 늘려라
린다 그래튼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
런던비즈니스스쿨의 MBA 수업 도중 한 교수가 학생들에게 질문했다. "당신이 100년을 산다고 가정할 때, 소득의 약 10%를 저금하고, 최종 연봉의 50%를 가지고 은퇴할 수 있는 시점은 언제인가?" 학생들은 곧바로 계산을 했고, 답은 80대였다. 교실은 조용해졌다. 장수의 축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모두 80대까지 지금과 같은 업무 강도로 일해야 한다. 평균 근로 기간이 30년에서 50년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이 수업의 주인공은 린다 그래튼(Gratton·62)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다. 장수의 축복이 어느새 저주가 돼버린 이 시점에 그래튼 교수는 "지금까지 '학교-직장-은퇴' 3단계로 나뉜 인생의 프레임부터 바꿔야 한다"며 "100세 인생을 행복하게 누리기 위해서는 앞으로 '늘어나는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영학계 오스카상이라는 '싱커스 50(Thinkers 50)'에 2011~2015년 연속 선정됐다.
그래튼 교수는 지난해 6월 같은 학교 교수 앤드루 스콧과 함께 출간한 신간 '100세 인생(The 100-Year Life)'을 통해 연장된 수명의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방법을 소개했다. 책에서 그는 '유형 자산', 즉 돈만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긴 인생의 여정을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가족, 친구, 연인, 건강, 유연함 등 다양한 무형 자산도 보유해야 한다. 특히 유연함이 중요하다. 결국 우리는 살면서 여러 직업을 경험하게 될 것이고, 여러 국가에서 살아볼 확률도 높다. 새로운 경험에 열려 있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성향은 100년의 인생을 건강하게 살아가는 큰 자산이 될 것이다."
100세 시대에는 좋은 삶을 누리기 위해 돈(유형 자산)뿐 아니라 기술과 지식, 건강과 우정, 변화에 대한 적응력 등 무형 자산도 똑같이 중요해진다. 단거리 경주가 아닌 마라톤의 삶을 잘 살기 위해선 새로운 삶의 단계와 순서를 재설계해야 한다.
지난달 그래튼 교수를 전화로 인터뷰했다. 그는 단호한 어조로 "18세든, 45세든, 60세든, 당신은 지난 세대와 다른 방식으로 미래를 헤쳐나가야 한다"며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뒤, 나이 들면 은퇴하는 틀은 이제 더이상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은퇴·정년 개념 사라져
―100세 시대를 연구하게 된 이유가 있나.
"지난해 서구권 국가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절반은 평균 예상 수명이 105세다. 100세 시대는 우리의 생각보다 빨리 다가오고 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의 대다수는 최소 90대까지 살 것이다.
장수는 이미 우리에게 당연한 일이 됐지만, 어떻게 해야 오래 행복하게 살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놀라울 정도로 부족하다. 과거에 '당연했던 것들'은 이제 '상상 속 혹은 역사 속의 일'이 될 것이다."
―어떤 '당연한 것'들이 사라지나.
"은퇴 혹은 정년이라는 개념이 사라질 것이다. 앞으로 사람들은 더 오래 일해야 한다. 당연한 소리 같겠지만, 대학 졸업 후 20~30년간 열심히 일하고 은퇴 후 연금으로 소소하게 노년을 즐기는 모습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그러면 70~80대도 30~40대처럼 일하게 된다는 얘기인가.
"기업은 앞으로 60세에 직원을 내보낼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을 실직으로 내몰면 그만큼 경제적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70~80대가 직장을 가질 수 있단 얘기도 아니다. 급변하는 고용시장에서 그들이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새로운 스킬에 대한 근본적인 투자가 중요하다. 만약 당신이 은퇴를 앞둔 40대라면, 야근과 주말 근무로 회사에 온 힘을 쏟는 대신 여가 시간에 능력을 재창조하는 시간을 보내야 한다."
―어떤 능력을 키워야 하나.
"무형 자산을 키워야 한다. 예컨대, 배움은 풍부한 삶을 살기 위한 필수 요소다. 이를 '생산적 자산'이라고도 하는데, 궁극적으로 유형 자산, 즉 돈을 벌게 해주는 초석이 된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식은 수입 잠재력을 높인다. 과거에는 대학을 졸업하는 것으로 학습이 끝나는 경우가 대다수였지만, 100년 인생은 '100년의 공부'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전문성을 습득하는 것은 평생의 작업이 될 것이다."
새 기술 배우고 개인 네트워크 가져야
―인적 네트워크도 중요하다고 했다.
"가족, 친구 등 인간관계 역시'생산적 자산' 에 속한다. 좋은 평판에 대한 중요성은 새로운 분야에 진입할 때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이를 개인 브랜드 구축이라고 볼 수도 있다.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봐도 그렇고, 최근 연구 결과가 뚜렷이 보여주는 사실이 하나 있다. 60대가 넘어서면 어려움을 겪을 때 어깨를 빌려 줄 새 친구를 사귀기 어렵다. 100년의 세월 동안 행복한 삶을 누리고 싶다면, 친구를 사귀고, 인맥을 넓히는 일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건강도 중요하지 않나.
<중략>
―70~80대에게 필요한 능력이 또 있나.
"평생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 즉 '변형 자산'이 필요하다. 삶에 대한 유연한 자세는 무엇보다 중요해질 것이다. 100년을 사는 동안 우리는 최소 2~3개 이상의 직업을 경험하게 될 것이고, 다양한 도시, 혹은 다양한 국가에서 살게 될 경우도 많아질 것이다."
―70~80대가 젊은 층보다 업무 면에서 더 유리한 능력도 있지 않나.
"70~80대를 하나의 특성으로 분류하려는 관점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이 또한 바꿔야 한다. 보통 어릴수록 한 가지 특성으로 그 세대를 분류하기 쉽지만, 윗세대는 다르다. 살아온 환경, 경험에 따라 70~80대는 젊은 층보다 훨씬 더 다양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어떤 이들은 아이디어를 내는 데 강점이 있을 수 있고, 어떤 사람은 글을 잘 쓰거나, 회계 업무를 잘 볼 수도 있다. 세월의 경험으로 누적된 능력은 개인의 특성을 강화시킨다. 이 때문에 그들을 하나의 세대로 카테고리화해서 모두 비슷한 능력을 보유할 거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
====================
[이전 도서 참고요]
일의 미래
-10년 후 나는 어디서 누구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린다 그래튼 | 출판사 생각연구소 | 2012.02.29
http://blog.daum.net/bstaebst/6955
[책소개]
미래에 대한 관점을 계발하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도록 이끌어주는 『일의 미래』. 이 책은 2025년의 하루 일과를 통해 인류가 겪을 일의 위기와 기회를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전 세계가 일터로 바뀌고 정년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미래 사회에서 의미있고 가치있는 일을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일깨워주고 있다. 일의 미래를 파편화, 외로움, 소외라는 부정적 모습과 협력, 참여, 창조라는 긍정적 모습으로 균형 있게 탐구한다. 미래 사회의 중심이 될 아이들, 변화의 물결 앞에서 생존의 기로에 선 기업가들,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의 노동환경을 결정해야 하는 정치인들이 반드시 새겨야 하는 핵심적인 조언과 2025년을 목전에 둔 이 시대의 사람들에게 일에서 성공을 거두고 행복해지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길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린다 그래튼
린다 그래튼Lynda Gratton은 지난 30년 동안 기업문화, 전략적 조직관리, 조직혁신, 조직학습 등을 연구한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이자, <파이낸셜타임스>, <비즈니스위크> 등이 선정한 ‘세계 최고의 경영사상가’이다. 특히 조직과 구성원의 협력에 대한 연구, 기업통합에 따른 조직혁신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해 경영학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현재 런던경영대학원 경영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파이낸셜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슈머 사회] 소비자 경제...제4차 산업혁명, 소비자가 자산이다 (0) | 2017.03.23 |
---|---|
[초연결사회/기본소득] 인공지능(AI) 시대와 지속가능한 제4차 산업혁명 (0) | 2017.03.20 |
[제4차 산업혁명] 혁신 가로막는 3대 장벽 극복해야 길 열린다 (0) | 2017.02.16 |
[제4차 산업혁명] 제4의 물결이 온다...부의 기회를 잡아라 (0) | 2017.02.01 |
[미래교육] 인공지능(AI) 기반의 교사 없는 교실이 부상하고 있다 (0) | 201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