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푼’과 온 英공군총장…美8군 사령관 “통일준비 끝”
뉴데일리 2016.11.09 전경웅 기자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26632
지난 8일 韓·美·英 공군, 공동 성명 발표 “군사협력 증진”
국내 일각, 美정부의 ‘대북협상의 모든 카드’ 준비 끝난 상황 해석…일부 “전쟁 나나
▲ 지난 8일 공군이 언론에 공개한 한미영 공군합동훈련의 모습. F-15K를 선두로 왼편에 英공군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오른쪽으로는 美제7공군의 F-16C, 한국 공군의 KF-16이 편대 비행을 하고 있다.
지난 11월 4일, 한국 경기도 오산 공군기지에 온 英공군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가 나흘 뒤인 8일에서야 언론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그런데 이 자리에 英공군참모총장이 참석했고, 삼국 공군은 공동 성명을 내놨다. 미묘하게도 같은 날 주한미군의 핵심 전력인 美8군의 사령관은 한 강연에서 “한미 연합은 통일준비를 모두 끝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8일 한미 군 당국은 경기 오산 공군기지에서 英공군의 유로파이터 타이푼과 한국 공군의 F-15K, 주한 美공군의 F-16C의 합동훈련 장면을 기자들에게 일부 공개했다.
비슷한 시각,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열린 강연에서는 원론적이기는 하지만 시기상 의미심장한 발언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연합뉴스’와 ‘조선일보’ 등에 따르면, 이날 서울사이버대학교에서 강연을 하던 토머스 밴달 美육군 제8군 사령관(육군 중장)이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 우리는 이미 통일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고 한다. 토머스 밴달 사령관은 강연에서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 도발을 언급하면서 “김정은이 비대칭 전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한미 동맹은 모든 상황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이 같이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략>
‘유로파이터 타이푼’과 한미 공군의 연합훈련에다 英공군 참모총장의 등장, 美8군 사령관의 ‘통일준비 끝’이라는 발언은 그 시기와 무게 때문에 국내에서 많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英공군 참모총장의 방한과 美8군 사령관의 발언에다 최근 美정부 안팎에서 나온 ‘대북 선제타격’ 주장을 엮어 “전쟁 나는 게 아니냐”며 불안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미 당국의 군사행동은 최후의 선택이라는 점에서 단기간 내에는 사용할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국내외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 [관련기사 참고요] ■[오리 앞으로 다가오는 전운] 북한 공격에 앞서 한-미-일-영이 공동 연합작전 감행
■워싱턴포스트 "한국의 기이한 박근혜 대통령 스캔들은 미합중국에 손해" 연합뉴스 2016.11.08 김수진 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8919
미국의 유력 일간지 WP가 7일(현지시간) 사설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미국에 손실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사설에서 이번 스캔들이 미국의 이익에 특히 좋지 않은 시점에 일어났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레임덕에 접어들고, 중국이 지역내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필리핀 등 미국 우방의 환심을 사면서 압박을 더하고, 북한은 미국에 핵타격을 가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및 핵탄두 소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시점이라는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강경한 태도와 대미 협력 의지를 보여줘 미국에 중요한 동맹이 될 수 있었지만 이제 그런 역할을 해낼 권위를 덜 갖게 됐다고 WP는 지적했다.
WP는 일본과의 위안부 문제 합의나 대북제재, 사드 배치 등을 박 대통령이 4년간 해온 대미 동맹의 사례로 열거했다. 요약하자면 이번 스캔들의 큰 수혜자는 북한과 중국이라고 지적했다. |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한국방어 굳건히 유지…'한미동맹 강화' 100% 동의" (0) | 2016.11.10 |
---|---|
미국 대통령 당선인 "끝까지 함께할 것" ...朴대통령-트럼프 첫 통화 (0) | 2016.11.10 |
[최순실 게이트] 검찰 “‘태블릿PC’ 내 문건, 대통령기록물 아니다” (0) | 2016.11.10 |
미국의 백인 하층민 분노와 좌절이 만든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0) | 2016.11.10 |
[美대선 이변] 도널드 트럼프 차기 대통령 당선...한반도정책 변화에 주목 (0) | 201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