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北核위협 대응] 주한미군, '한국내 美민간인' 7년만에 日대피 실전훈련

배셰태 2016. 11. 8. 07:00

■'한국내 美민간인' 7년만에 日대피 실전훈련

조선일보 2016.11.08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08/2016110800219.html

 

[北核위협 대응 위해… 평택서 駐日 미군기지로 실제 이동]

주한미군, 최근 나흘간 실시… 美국가안보국 국장도 방한

 

駐日기지로 떠나는 미군 가족들 - 북한의 공격 등에 대비해 한국에 사는 미국 민간인을 대피시키는 주한 미군의‘커레이저스 채널’훈련에 참여한 미군 가족들이 지난 1일 주일 미군 기지로 이동하기 위해 김해공항에서 C-130 수송기에 탑승하고 있다. 미군은 매년‘비전투 요원 소개 훈련’을 실시하지만, 실제로 민간인을 주일 미군 기지까지 이동시키는 훈련을 한 것은 2009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미8군

 

주한 미군의 유사시 대피 훈련인‘커레이저스 채널’에 참여한 미군 가족들이 주일 미군 기지로 대피하기 위해 지난달 31일 경기도 평택의‘캠프 험프리스’에서 CH-47 시누크 헬기를 타고 대구공항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 /미8군

 

■주한미군, 美민간인 대피훈련…7년 만에 일본으로 이동훈련

연합뉴스 2016,11,07 이정진 기자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61107083900014&mobile

 

북한 위협 높아지며 대피훈련 강화…"실제상황과 가장 비슷하게 진행"

 

민간인 대피훈련인 '커레이저스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주한미군 가족들이 한반도를 떠나기 위해 C-130 수송기에 탑승하고 있다. [미 8군 홈페이지 캡처]

 

주한미군이 북한의 공격 등 유사시 한국에 거주하는 미국 민간인을 대피시키는 '커레이저스 채널(Courageous Channel)' 훈련을 최근 실시했다. 이 훈련은 연례적으로 이뤄지지만, 올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가시화되면서 7년 만에 일부 민간인을 실제로 주일 미군기지까지 이동시키는 등 훈련 강도를 크게 높인 것으로 전해졌다.

 

7일 미 8군 홈페이지에 따르면, 대구에 주둔하는 미 19전구지원사령부는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3일까지 어린이를 포함한 미군 가족 등 비전투요원을 한반도 밖으로 대피시키는 '커레이저스 채널 2016' 훈련을 진행했다.

 

<중략>

 

19전구지원사령부 소속 대피 전문가인 저스틴 스턴은 "비전투요원 대피훈련은 매년 실시하고 있지만 올해는 실제상황과 가장 비슷하게 훈련이 진행됐다"면서 "미군 가족들을 한반도 밖으로 대피시킨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최근에는 대피 명령이 떨어졌을 때 절차와 서류 등을 숙지시키는 데 중점을 둬왔지만, 올해는 실제 한반도 밖으로 대피가 이뤄지는 등 훈련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

[참고요]

■[핵확산금지조약(NPT)] 북한의 '핵보유국' 착각...파키스탄과 다르다

한국일보 2016.09.14 송용창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8477

 

북한의 실제 핵능력과 핵보유국 인정은 차원이 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NPT 체제의 구속력, 그리고 NPT체제의 유지 여부와 직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눈여겨볼 것은 파키스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받은 적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유엔 제재, 즉 국제사회 전체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것일까요. 북한은 중요한 출발선에서부터 파키스탄과 다른 것입니다. 북한이 모델로 삼아야 하는 나라는 파키스탄이 아니라 이란입니다.

 

1970년 NPT가 발효된 이후 NPT 가입국 중 NPT에서 탈퇴한 나라가 없고, 비핵보유 가입국 중 핵보유국으로 인정된 나라도 한 곳도 없는 것입니다. 현재 NPT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90개국이 가입해 있습니다.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외에 다 가입해 있는 것입니다.[요약]

 

■[핵태세검토보고서] 미국, '북한 핵무기 발사 징후' 땐 핵무기로 선제공격

국민일보 201616.09.10 전석운 특파원

http://blog.daum.net/bstaebst/18470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핵우산 제공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은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부터 한국의 안보를 미국이 책임지겠다는 걸 분명히 한 것이다. 미국은 동맹국인 한국이 공격받을 경우 미 본토가 공격받은 수준으로 대응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핵우산 제공 발언은 ‘미 본토가 북한의 핵 공격을 받지 않는 한 미국이 북한을 타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바마 정부의 핵무기 전략은 비핵보유국을 상대로 선제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게 원칙이다. 그러나 북한과 이란은 예외다. 북한의 핵무기 발사 징후가 농후하면 선제적으로 핵무기를 쏘는 걸 배제하지 않고 있다.

 

오바마 정부의 이런 입장은 2010년 발간된 핵태세검토보고서(NPR, Nuclear Posture Review)에 잘 나와 있다. 미군의 핵우산은 구체적으로 ICBM과 SLBM, 전략폭격기 등을 동원한 핵무기 발사 체계로 구성돼 있다. 미 공군이 지난 5일 발사한 ‘미니트맨3’는 가용할 수 있는 핵우산 프로그램 중 하나다..[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