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이명박 정부,녹색성장의 기억...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미래

배셰태 2016. 5. 16. 09:05

[아침을 열며] 녹색성장의 기억, 창조경제의 미래

한국일보 2016.05.15(일) 허성욱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http://www.hankookilbo.com/v/236fbbad3c1e48469b04c1c79f9a5a61


이명박 정부 시절 필자가 국내외의 국제학술행사에 참석하는 경우 외국 학자들로부터 가장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당시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던 ‘녹색성장’의 정확한 개념에 관한 것이었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시 녹색성장은 국정 전반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지도 이념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정부조직 차원에서는 대통령 직속의 녹색성장위원회가 설치되었고 청와대 내부에서도 녹색성장환경비서관의 직위가 설치되어 국정 전반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법제도 면에서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만들어져 에너지법과 환경법 영역을 아우르는 최고 기본법으로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강력한 녹색성장정책의 추진은 실제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중략>


문제는 일관성과 지속가능성이다.


지난 정부에서 최우선의 중요도를 가지던 녹색성장은 지금 정부 하에서 더 이상 국정의 지도이념으로서 지위를 가지지 않게 되었고 급속하게 동력을 잃었다. 대신에, 그 지위는 ‘창조경제’라는 새로운 개념이 차지하게 되었다.


물론 대통령제하에서 국정 운영의 주요 기조는 정권의 교체와 새롭게 취임하는 대통령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5년을 주기로 정권의 교체에 따라 쉽게 바뀔 수 있기에는 ‘녹색성장’이나 ‘창조경제’는 지나치게 큰 개념이고 장기적인 자원의 투입이 요구되는 개념이다.


필자는 아직도 외국의 학자들에게 각론에서까지 정합성이 있는 ‘녹색성장’의 개념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의도한 그 개념대로 성공적으로 집행된다고 하더라도 녹색성장정책이 기대한 효과를 거두는 데는 상당한 시간의 경과가 요구된다고 할 것인데, 지난 정부에서 녹색성장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던 많은 인력과 자원이 현재까지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기대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깊은 의문이 있다.


그러는 사이에 조선업을 비롯한 제조업 중심의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산업 기반은 점차 약해지고 있고 새로운 성장산업을 찾는 노력의 성과는 여전히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규범체계와 현실 사이의 괴리도 문제이다.


일단 만들어진 법 제도는 정치적 관성(inertia)을 가지게 되는 것이어서, 지난 정부에서 만들어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규범적 위상은 여전히 유효한 반면, 정부 내에서 현실적인 정책이 검토되는 단계에서는 녹색성장이라는 단어는 잘 등장하지 않는지 오래되었다.


비슷한 과정을 창조경제도 걷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