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선진국의 자동화로 인해 개발도상국 일자리 85%가 소멸한다

배셰태 2016. 2. 14. 20:05

선진국의 자동화로 인해 개발도상국 일자리 85%가 소멸한다

세계개발은행 2016 리포트

인데일리 2016.02.14(일)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2&nMcate=M1002&nScate=1&nIdx=30496&cpage=1&nType=1

 

선진국의 자동화로 인해 개발도상국 일자리 85%가 소멸한다. 세계개발은행 2016 리포트.  대부분의 일자리가 자동화로 대체되고 일자리 소멸의 위험이 저개발국가에서 더 많아진다. (신용 : 세계개발은행 보고서, 2016)

 

옥스포드마틴스& 시티의 보고서는  자동화가 저개발국가의 일자리에 가장 큰 위험을 가지고 오며 우즈베키스탄의 일자리 55%에서 에티오피아 일자리 85%를 소멸시킬 것이라고 보고했다. 일자리 소멸의 상당한 부분은 중국과 인도로 약69-77%의 일자리 소멸을 가져오며, 대부분 신흥경제국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보았다.

 

미래일자리버전2.0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발전은 미국의 일자리의 거의 절반이 정보화의 위험에 노출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연구가 바로 옥스포드마틴스쿨의 칼 베네딕트 프레이와 마이클 오스본의 2013년 연구이며, 이는 KurzweilAI에서 이미 보도한 바 있다.

 

미래는 일자리 변화는 다양한 자동화로 인해 국가 및 도시의 취약점에 대한 심층분석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자동화가 경제성장의 전통적인 모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일자리 소멸로 기인하며, 이는 정부가 대안을 탐구하고, 미래 부상일자리, 파괴적인 일자리를 알고 미래 대비하고 준비하는 방법을 고려해야만 한다.

 

<중략>이미지
미국의 일자리 47%는 자동화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모든 도시는 자동화 위험이 다가오고 있다. (신용 : 버거, 프레이와 오스본 / 씨티 연구보고서, 2015)

 

보고서에 분석의 주요영역은 다음과 같다 :

 

생산성을 강조하는 제조업에서는 전통적으로 부유한 국가들과 개발도상국 격차가 많다. 자동화는 이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고로 새로운 성장 모델이 필요하다.

 

자동화의 영향으로 인해 일자리 수요가 줄고 사회안전망의 낮은 수준을 가진 개발도상국에 더 파괴적 일 수 있다. 3D프린터 등 자동화 발전이 국가의 위험을 가져다주며 가정에서 스스로 제조를 하여 가내수공업회사를 구동할 가능성이 있다. 조기 탈산업화가 온다.

 

<중략>

 

디지털 산업은 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는다. 2000년 이후 미국 노동인구의 0.5%만 디지털기술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산업으로 일자리를 이동했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최대 일자리는 2012에서 2022년 사이에 약 4백만 명 이상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가는데, 이 대부분은 헬스케어, 보건의료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중략>이미지
미국의 컴퓨터 자동화로 소멸되지 않을 일자리 25개 (신용 : 칼 베네딕트 프레이와 마이클 A. 오스본 / 옥스포드마틴스쿨)

 

씨티조사에 의하면 자동화되는 사회에 정책 등의 변화에 큰 도전을 느끼지만, 자동화 및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교육에 투자가 이뤄지면서 또 다른 미래산업으로 연결되어 일자리가 탄생한다. 이를 낙관적 자동화라고 볼 수 있다.

 

"손쉽게 자동이 될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될 확률이 높다. 산업의 재발전 재조직 재개발이 될 수 있는 분야는 항시 기술 및 고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옥스포드마틴스쿨 프레이박사가 말했다.

 

"21세기의 주요 과제는 기술변화를 촉진하여 일자리를 늘리는 고용이 중요하며, 사회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술을 찾아내고 알아내는 작업이다."라고 캐슬린 보일, 씨티 GPS편집장이 말한다. 고로 미래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산업을 찾는 눈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일자리의 소멸과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내야하는 도전을 인식해야만 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향한 노동자의 자동화의 영향 최소화를 위해 훈련과 교육적 요구를 찾아내야하며, 문제해결을 위해 정책을 바꿔야 한다. 그리고 이런 논의는 너무 늦기 전 바로 지금 시작해야만 한다."

 

<중략>

 

출처 : http://www.kurzweilai.net/impact-of-automation-puts-up-to-85-of-jobs-in-developing-countries-at-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