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호의 시시각각] 왜 애플은 가라앉고 구글이 뜨는가
중앙일보 2016.02.01(월) 이철호 논설실장
http://mnews.joins.com/article/19506664
가치주 지고 펄펄 나는 성장주
야당도 규제 완화에 눈 돌릴 때
이번 주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을 기사는 ‘구글에 무릎 꿇은 애플’일 것이다.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의 시가총액이 5236억 달러로, 애플(5397억 달러)과 161억 달러 차이로 바짝 따라붙었기 때문이다. 한때 애플은 알파벳보다 두 배나 시총이 많았지만 지난 13개월 동안 15% 떨어졌다. 반면 알파벳은 43%나 치솟았다. 머지않아 구글이 애플을 제치고 대장주에 올라설 게 분명하다.
<중략>
애플만 좋은 시절이 저무는 게 아니다. 그나마 애플은 마지막 희생자다. 스마트폰 자체가 끝물 조짐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IM부문 영업이익은 25조원(2013년)에서 지난해 10조1300억원으로 훨씬 가파르게 추락했다. 스마트폰의 포화로 세계시장이 레드오션이 돼버린 것이다.
<중략>
아이폰에 집착한 애플에 비해 구글의 행보는 눈이 어지러울 정도다. 지난 17년간 신약성서 마태복음 첫 구절만큼 복잡한 인수합병을 했다. “구글은 유튜브를 먹고, 안드로이드를 먹고, 또한 모토로라와 휴머노이드 로봇 회사도 먹고, 성층권 드론 업체인 타이탄아에로스페이스까지 먹고….” 그동안 인수한 업체만 180개가 넘는다.
문어발 확장은 요즘 잘나가는 페이스북도 마찬가지다. 인스타그램·왓츠앱에 이어 드론업체 어센트까지 먹어치웠다. 역사상 무모한 기업 인수로 무너진 기업은 숱하다. 하지만 구글과 페이스북은 놀라운 판단 아래 미래 산업을 전부 집어삼키려는 기세다.
<중략>
주가수익비율(PER)만 봐도 애플은 10 남짓의 가치주로 내려앉았고, 구글과 페이스북의 PER은 각각 23과 97로 성장주 대접을 받고 있다. 투자자들은 애플의 ‘다르게 생각하라(Think different)’보다 구글의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Imagine the unimaginable)’를 더 높게 치는 것이다.
미국의 시가총액은 곧 구글-애플-마이크로소프트-페이스북 순으로 뒤집어질 판이다. 전통적 강자인 엑손모빌·GE·월마트는 뒤로 밀려난다. 시총만 보면 우리 인류는 먹고 자고 입는 것보다 하루 종일 인터넷과 SNS를 하며 살아가는 세상이다.
<중략>
미국 월가의 잣대로 보면 한국 대기업들은 낡은 가치주들이다. 그나마 성장주라면 한미약품·아모레퍼시픽·셀트리온 등에 불과하다. 구글·페이스북 같은 한국판 새싹은 찾기 어렵다. 역대 정부가 ‘규제 전봇대’와 ‘손톱 밑 가시’를 열심히 뽑았는데도 그렇다. 이미 미국에는 우버·에어비앤비 등 공유경제의 새로운 벤처까지 등장했다. ‘규제의 나라’ 한국에선 불가능한 일이다.
우리 여야도 지지율 그래프에서 벗어나 한 번쯤 구글과 애플 주가 그래프를 쳐다보았으면 한다. 특히 우리 야당에 절실한 구호는 ‘Think different’와 ‘Imagine the unimaginable’이 아닐까 싶다. 어쩌면 야당이 총선·대선에서 이길 수 있는 비결도 그 속에 숨어 있는지 모른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성장 시대의 종언...삼성전자 등 국내 제조사, 샌드위치 신세 (0) | 2016.02.01 |
---|---|
카카오, 인터넷전문은행 이어 신용카드 사업에도 진출...정부, 지난 27일 허용 (0) | 2016.02.01 |
구글 지주회사 `알파벳`, 애플 제치고 전세계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서나 (0) | 2016.01.31 |
한국, 50대 이상 장년층 모바일 인터넷 이용 급증 (0) | 2016.01.31 |
삼성전자, 중국 스마트폰 시장 TOP5서 사라졌다...샤오미•화웨이 1,2위 (0) | 2016.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