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유통 넘보는 구글·애플..제조사 vs 통신사 '영토전쟁'
노컷뉴스 2015.11.26(목) 김연지 기자
http://www.nocutnews.co.kr/news/4509517
제조사들 알뜰폰 서비스·유통까지..국내 이통사 '제2의 루나' 찾기
스마트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가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며 영토 전쟁을 벌이고 있다. 제조사, 통신사로 명확하게 나눠져 있던 업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저마다 색깔을 내세우면서 고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 구글 알뜰폰 '프로젝트 파이' 알기 쉬운 요금제 장점
구글이 최근 넥서스 신제품 출시와 더불어 알뜰폰 서비스인 '프로젝트 파이'를 확대하고 있다. '프로젝트 파이'는 구글의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브랜드다. 쉽게 말해 구글이 기존 이동통신 사업자 망을 빌려 제공하는 일종의 알뜰폰 서비스다.
<중략>
국내 MVNO가 특정 이동통신사업자 한 곳으로부터 망을 빌려 쓰는 것과는 달리 '프로젝트 파이'는 T모바일과 스프린트의 네트워크를 모두 사용한다. 네트워크 환경이 더 원활한 망을 실시간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세계 최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글은 스마트폰-이동통신망 사업까지 거느리면서 자신의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다지게 됐다.
중국 샤오미도 지난 9월 '미 모바일' 브랜드로 MVNO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미 모바일은 통화, 문자메시지, 1MB 데이터 통신에 각각 0.1위안(약 18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월 59위안에 3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정액제 상품도 있다.
애플은 '아이폰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으로 유통까지 손을 뻗었다. 매달 32달러(아이폰6s 16GB 기준)를 내면 1년마다 새 아이폰으로 바꿀 수 있는 서비스다. 또 새 아이폰을 받을 때마다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전화 유통은 이통사의 몫이다. 그러나 애플이 아이폰의 인기를 등에 업고 유통까지 거머쥐려는 것이다. 삼성전자도 미국에서 애플과 비슷한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 제도가 정착되면 스마트폰 구매 패턴이 소유가 아닌 임대(리스) 형태로 변하게 될 가능성도 있어 제조사와 이통사의 영토 전쟁은 업계의 판을 뒤흔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구글 등 제조사들은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통신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한다기보다 사물인터넷(IoT)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IoT에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못지않게 기기를 연결하는 통신망이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관련 사업을 확대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장기적으론 MVNO 사업을 통해 통신망을 운영·관리하는 노하우를 쌓으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통3사, '제 2의 루나' 전용폰 찾기 동분서주…단말기 차별화로 고객 유치
<중략>.
업계 한 관계자는 "차별점을 내세운 전용 모델은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는 국내 업체들 뿐 아니라 해외의 다양한 단말기를 전용폰으로 판매하는 사례도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더 부총재 “샤오미, 좌절한 청춘의 친구가 된 것이 성공비결이다” (0) | 2015.11.27 |
---|---|
[21세기 新산업혁명]`초연결사회’ 여는 5G 통신..2020년 570조원 시장 열린다 (0) | 2015.11.26 |
구글, 페이스북에 맞설 새 모바일 뉴스 플랫폼 'AMP' 내년 출시 (0) | 2015.11.26 |
제프 베조스의 블루오리진 vs 엘런 머스크의 스페이스X...'우주경쟁'의 승자는? (0) | 2015.11.25 |
제프 베조스의 우주기업 '블루오리진'...우주선 발사 추진 로켓 회수 성공 (0) |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