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제레미 리프킨•키건 쇼웬버그..공유경제 '세대 공감'

배셰태 2015. 10. 20. 12:25

"낮엔 자본주의, 밤엔 공유경제... 젊음이 부럽다"

오마이뉴스 2015.10 19(월) 김시연 기자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152672#cb

 

[세계과학정상회의]

70대 혁신가 제레미 리프킨과 30대 창업가 키건 쇼웬버그의 '세대 공감'

 

3D 프린팅 기술로 맞춤형 깔창을 개발한 키건 쇼웬버그 솔스 CEO가 19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술포럼 기조연설을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 2015세계과학정상회의 제공

 

'1945년생' 제레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과 '1985년생' 키건 쇼웬버그 솔스(SOLS) 최고경영자(CEO). 나이 차이가 40년에 이르는 두 혁신가는 19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과학정상회의에서 단연 돋보였다.

 

제레미 리프킨이 이날 기조연설에서 <제3차 산업혁명><한계비용 제로 사회> 등 최근 저서를 통해 보여줬던 '협력적 공유경제' 시대의 밑그림을 그렸다면, 키건 쇼웬버그는 그 살아있는 증거였다.

 

'맞춤형 깔창'으로 제조업 혁신 일으킨 30세 여성 창업가

 

키건 쇼웬버그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맞춤형 깔창을 개발해 올해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 '30세 이하 기업인 30인'과 <비즈니스 인사이더> '기술 분야 30세 이하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에 연달아 뽑히는 등 화제를 모으고 있다.

 

<중략>

 

특히 한국의 젊은 창업가들에게 "한 분야에 머무르지 말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으면 문을 박차고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알지 못하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려면 두려움도 있겠지만 담대하게 이겨내야 한다"는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낮에는 자본주의, 밤에는 공유경제... 젊음이 부럽다"

 

<한계 비용 제로 사회> 저자인 제레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이 19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술포럼 기조연설을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 2015세계과학정상회의 제공

 

"나도 여러분처럼 젊었으면 좋겠다."

 

이제 70대에 접어든 제레미 리프킨도 이날 유독 '젊음'을 강조했다. '자본주의'를 부모 세대에, 자본주의 뒤를 이을 '협력적 공유경제'를 자식 세대에 비유한 것부터 그렇다.

 

"앞으로 흥미진진한 일이 펼쳐질 것이다. 자본주의와 공유경제가 당분간 같이 살아야 하는데 부모는 자식이 자기를 닮길 바라겠지만 자식만의 정체성도 필요하다....(중략) 자본주의가 공유경제를 흡수하려 해선 안 된다. 자본주의와 공유경제가 '하이브리드'로 가는 건 좋은 변화다. 한국인들이 낮에는 자본주의, 밤에는 공유경제로 인터넷에 정보를 무료 배포하거나 카셰어링(차량 공유)하는 게 좋은 사례다. (공유경제가) 지구 환경을 위해서도 좋다."

 

아울러 제레미 리프킨은 기성세대의 '자유'나 '권력' 개념도 디지털 세대에 맞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자유는 다른 사람에게 속박되지 않고 나만의 영역을 갖는 걸 의미했다. 그러나 지금 인터넷을 사용하는 40세 미만 젊은 세대에게 자유란 혼자 있는 배타성이 아니라, 여러 네트워크에 포용력을 갖고 참여하는 것이다. 지금은 소유가 아닌 접속 시대고 헌법에서 말하는 자유 개념도 바뀌어야 한다.

 

권력 개념도 바뀌었다. 예전엔 피라미드 구조처럼 교육이든 정보든 중앙집중화되고 위에서 지침이 내려오는 시대였다면, 디지털 시대 권력은 아이디어가 투명하게 공유되고 수평적으로 흐르는 게 중요하다. 모든 사회에서 근본적인 권력의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