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아마존·카카오···“연결이 곧 돈”
매일경제 2015.09.18(금) 김슬기 기자
http://m.mk.co.kr/news/headline/2015/902936
매개비즈니스의 가능성과 실제 소개한 책 ‘매개하라’
“알리바바는 남이 만든 것 연결만 해주고 회사가치가 132조원을 넘어섰고, 제조는 다른 업체에 맡긴 애플은 삼성전자보다 수익이 6~7배다.”
이 책의 저자인 임춘성 연세대 정보산업공학과 교수는 “소유하지 말고 연결하라. 생산하지 말고 매개하라”고 주장한다. 알리바바, 아마존, 페이스북, 카카오 등 요즘 잘나가는 기업들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연결해줌으로써 엄청난 성공을 이루었다.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에서 벗어나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바로 이어주는 ‘매개 비즈니스’가 도래한 것이다. 완전히 달라진 비즈니스 판도를 읽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터, 커뮤니케이터, 모빌라이저, 코디네이터, 어댑터, 에이전트, 매치메이커, 컴바이너 등 8가지 매개 전략을 소개하고, 이를 어떤 상황, 어떤 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지 안내한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유망 아이템은 물론이고, 먹고사는 모든 문제, 미래직업 등 세상의 축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책마을] 연결의 시대에 성공하는 법
한국경제 2015.10.15(목) 유재혁 기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1554301
중국 최대 온라인쇼핑몰 타오바오의 거래규모는 미국 이베이와 아마존보다 2~3배 많다. ‘아리왕왕’이란 메신저가 성공의 일등공신이었다. 중국에서는 물건을 살 때 가격을 흥정하는 게 일상화돼 있는데, 그 흥정 문화를 온라인으로 가져온 것이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한 번의 거래로 끝내지 않고 지속해서 연락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해주자 거래량이 폭증했다. 온라인판 관시(關係)문화다. 거래 수수료를 받지 않고 광고를 수익모델로 택한 것도 주효했다. 결국 거래 수수료가 수익모델인 이베이는 중국에서 철수했다.
《매개하라》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초연결 시대를 지배하는 ‘빅 브러더’들의 핵심 전략을 소개하며 매개 산업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알리바바, 아마존, 페이스북, 카카오 등은 제조시설 없이 연결하는 비즈니스로 세상을 장악한 매개산업의 리더들이다. 즉 상품을 생산하지 않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를 맺어줌으로써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들이다. 존재가 아니라 관계, 소유가 아니라 연결과 통제가 중요한 이 시대에 발빠르게 대응한 결과다.
매개산업의 승자가 되려면 정교한 규칙을 세워 운영해야 한다. 1만8000여개의 의류 공급업체를 거느리고 있는 홍콩 아웃소싱 전문기업 리앤펑은 3 대 7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공급업체가 보유한 생산 용량의 30% 이상을 주문하되, 70%는 넘기지 않는다. 공급업체와의 긴밀도와 긴장감을 적절히 유지하려는 전략이다.
저자는 “미래의 기회는 매개에 있다”며 “당신의 업에 매개를 접목하라”고 강조한다. 미래사업을 고민하는 이들이 읽어볼 만하다.
========
[책소개]
매개하라(Go-Between)
- 부와 권력의 대이동, 누가 움켜쥐는가?
임춘성 지음 | 쌤앤파커스 펴냄 | 2015.09.21 출간
http://blog.daum.net/bstaebst/15952
앞으로의 세상, 미래의 기회는 모두 ‘매개’에 있다!
알리바바, 아마존, 페이스북, 카카오 등 요즘 잘나가는 기업들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연결해줌으로써 엄청난 성공을 이루었다.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에서 벗어나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바로 이어주는 ‘매개 비즈니스’가 도래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매개와 매개자, 매개 비즈니스에 대해 다룬다.
완전히 달라진 비즈니스 판도를 읽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터, 커뮤니케이터, 모빌라이저, 코디네이터, 어댑터, 에이전트, 매치메이커, 컴바이너 등 8가지 매개 전략 을 소개하고, 이를 어떤 상황, 어떤 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지 안내한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유망 아이템은 물론이고, 먹고사는 모든 문제, 미래직업 등 세상의 축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나 빠른 한국 경제의 로봇 자동화...일자리 정책, 무인화 대책은 안 보이네 (0) | 2015.10.16 |
---|---|
[디지털 시대] 신언론선언 "이제 미래를 위해 투쟁해야할 때다" (0) | 2015.10.16 |
[잠든 AI 비즈를 깨워라] ‘인공지능(AI) 노믹스’ 두뇌 서바이벌에 대비하라 (0) | 2015.10.15 |
앵거스 디턴 프린스턴대 교수 "성장과 분배 이분법적 사고 버려라" (0) | 2015.10.14 |
교육의 미래...문제해결 능력이 없으면 일자리도 없다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