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끊임없는 토론과 실험...“글로벌 혁신의 시작”
전자신문 2015.09.20(일) 김시소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396784
http://www.etnews.com/20150914000061
구글이 최근 지주회사 ‘알파벳’ 체제로 전환을 선언했다. 이제 구글은 검색을 담당하는 알파벳 자회사 형태로 바뀐다. 우리가 알던 구글은 알파벳이 만들어가는 거대한 ‘무엇’의 일부다.
구글 마운틴뷰 본사
구글의 정체는 뭘까. 1998년 처음으로 세상 빛을 본 구글은 인터넷 검색 서비스와 광고가 주력이다. 연매출 70조원, 직원 수 5만여명의 인터넷 공룡기업으로 잘 알려졌지만 이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구글은 모바일 운용체계(OS) 안드로이드로 세계인의 손바닥을 장악했고 베일에 싸여 있는 비밀연구소 ‘구글X’를 운영하기도 한다. 구글 본사가 위치한 미국 마운틴뷰 근처에는 사람이 운전하지 않는 무인자동차가 다니고 스리랑카 하늘에는 구글이 띄운 기구 ‘프로젝트 룬’이 떠다니며 반경 40km에 인터넷 신호를 뿌린다.
구글이 무엇을 하는지, 어떤 미래를 꿈꾸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외계인이 아닌 구글에 속한 사람들이 이 모든 것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무기는 다름 아닌 소프트웨어(SW)다.
◇50% 이상이 SW 엔지니어…자유와 공유를 누린다
<중략>
◇끊임없는 토론과 실험, “글로벌 혁신의 시작”
사람들은 구글 조직 문화에 흔히 ‘수평적’이라는 평가를 내린다. 수평적 조직 문화 핵심은 토론이다.구글 경영진은 인사관리 업무를 겸임하는 SW개발직(테크리더)에게 “마이크로 매니징을 하지 말라”고 수시로 이야기한다.
누가 어떤 일을 하든 간섭하지 말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조직문화 뒤에는 분명한 목표 제시와 이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철저한 평가가 뒤따른다.
<중략>
구글에는 공유와 자유, 그리고 검증을 거쳐 탄생하는 상품을 관통하는 두 가지 키워드가 있다. 바로 ‘글로벌’과 ‘혁신’이다. 구글의 모든 서비스는 ‘원소스’로 진행된다. 미국과 한국, 아프리카, 싱가포르 서비스가 다르지 않다.
구글 코리아 개발자들이 주도해 만든 ‘영화 라이브 패널’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영화를 검색하면 이미지와 상영시간표, 예매까지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이 시스템을 뒤집어 보면 굉장히 복잡한 구조가 드러난다. 한국뿐 아니라 영화관 정보, 포스터 이미지 등 세계 곳곳에 각기 다른 상황을 단일 시스템에 반영했기 때문이다.
세계 각지 다양한 상황을 한 그릇에 담아냄으로써 비용절감과 동시에 거대한 서비스 아키텍처를 보유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개발과정에서 ‘혁신’을 요구하는 것은 구글이 버리지 않는 철칙이다. 구글 개발자들은 서비스를 만들며 끊임없이 “혁신적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박 매니저는 “구글 SW 엔지니어는 ‘카피’와 ‘이노베이션’ 두 가지 갈림길이 나오면 주저 없이 이노베이션을 택한다. 그렇게 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회사 임무”라며 “결국 이런 행동들이 쌓여 글로벌 스케일의 새로운 서비스를 탄생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오미, 20만원대 중고급형 스마트폰 ‘미4C' 출시...23일 오전부터 판매 (0) | 2015.09.22 |
---|---|
애플 아이폰과 구글 안드로이드폰 ‘진영’간의 다툼을 ‘종교 전쟁’에 비유 (0) | 2015.09.22 |
구글카 vs 애플카, 미래 자동차 놓고 격돌...각각 전기차, 자율주행차 전념 (0) | 2015.09.22 |
모바일 시대, 웹이냐? 앱이냐?...미국에서는 9대1로 앱이 우세 (0) | 2015.09.22 |
김범수 다음카카오 이사회 의장 "중국 모바일 성장 속도에 공포감" (0) | 201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