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부산시,공유경제에 무관심...'박원순 서울시장 대표사업'으로 인식하고 홀대

배셰태 2015. 8. 28. 06:24

부산시 무관심에 공유경제 싹도 틔우기 전 말라 죽을 판

국제신문 2015.08.27(목) 박정민 기자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200&key=20150828.22003192505

 

빛바랜 서병수 시장 공약

 

27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경제진흥원 4층 대회의실에서 제1회 부산공유경제촉진위원회가 열렸다.

 

- 위원회 꾸리는 데만 1년

- 첫 회의 열기까지 또 4개월

- 예산 절반 깎여 5000만 원

- 전담 직원도 따로 안 둬

- 서울시 먼저 치고 나가자

- 홀대하는 거 아니냐 해석도

 

부산시의 무관심으로 인해 지역의 '공유경제'가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위원회 구성 넉달 만에 첫 회의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은 27일 '공유경제촉진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공유경제촉진위는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공모에 지원한 기업의 선정 여부를 심사했다.

 

공유경제촉진위는 지난해 3월 제정된 '부산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에 의해 지난 4월 구성됐다. 부산시장은 당연직 4명을 포함해 각계각층 전문가 총 14명을 위촉했다. 하지만 조례 제정 1년이 넘은 시점에 위원회를 구성했고, 첫 회의를 4개월이나 지난 이날에서야 열어 공유경제 추진 의지에 의구심이 제기된다.

 

공유경제 기업과 관련된 단체들은 한참 늦은 위원회의 첫 회의가 현재 공유경제 정책에 대한 시의 안일한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한다. 서병수 시장이 '공유경제 지원시스템 구축'을 선거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취임 이후 시 차원에서 진행된 사업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전담 직원도 없이 '찬밥' 신세

 

<중략>

 

이 같은 시의 무관심에 대해 일각에서는 공유경제를 '박원순 서울시장 대표사업'으로 인식하고 홀대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공유경제 사업의 한 관계자는 "2013년 공유경제 개념을 전국 지자체 중 부산에서 가장 먼저 받아들였지만 2년 동안 별로 진전된 내용이 없어 오히려 뒤처졌다"며 "박 시장이 당선 후 공유경제를 크게 이슈화하자 부산시 내부에서 '박원순 사업' 으로 치부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고 전했다.

 

■민간 열기에 찬물 붓는 시

 

<중략>

 

한 공유기업가는 "서울은 차량 공유를 위해 시가 주차장을 마련해 준다거나 유아용품 공유를 위해 기초단체가 어린이집과 연계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며 "시민에게 공유경제를 지속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기적인 사업을 시에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시는 실적을 위한 단발성 사업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공유기업가는 "부산보다 늦게 공유경제에 관심을 가진 대전과 광주가 오히려 부산보다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대전에 '벌집'이라는 공유경제 코워킹 장소가 생겼고, 광주시는 공유경제 지원 전담조직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활용되지 않은 재화, 서비스, 공간, 재능, 정보 등 이미 생산된 상품이나 인간의 능력 등 유·무형 자원을 대여하고 차용해 사용하는 경제방식. 에어비앤비(Airbnb)와 우버택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공유경제] 이미지 크게 보기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