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페이지, 워런 버핏 뛰어넘는 금융자본가 꿈꾼다
중앙일보 2015.08.12(수) 강남규 기자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8432477&cloc=olink|article|default
지주회사 ‘알파벳’ 아래 그룹식 재편
“버크셔 처럼 … ” 오랜 계획 실행 옮겨
자금 81조원 … 버핏보다 현찰 많아
M&A 진입땐 전세계 시장 요동칠듯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42)가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85)이 된다. ‘컴퓨터 공학도’ ‘청년 창업자’에서 ‘투자자’‘금융 자본가’로 이름표를 바꿔 달 요량이다. 이를 위해 그는 “알파벳이란 회사를 세우겠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알파벳은 지주회사다. 기존 구글이 해온 지주회사 기능은 오롯이 알파벳으로 이관된다. 구글뿐 아니라 기존 자회사 16곳도 알바펫 우산 아래 들어간다. 톰슨로이터는 “구글이 하나의 선단 또는 그룹형 체제(Conglomerate)‘로 재편된다”고 설명했다. 지배구조의 혁명적 변화다. 구글이 주식회사로 출범한 1998년 이후 17년만이고, 나스닥에 상장한 지 11년 만다
<중략>
페이지의 변신은 이제부터 시작될 것이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해 시장을 개척하는 모험정신에 충만한 인물에서 투자 수익을 노리는 전형적인 자본가로의 변신이다. 이미 그는 이런 포석을 착착 실행에 옮기는 중이다. 그는 모건스탠리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루스 포랫(57)을 올 5월에 영입했다. 포랫은 알파벳의 CFO가 된다. 페이지 속내에 머니 게임이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페이지의 변신은 미 경제 역사에선 익숙한 일이다.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와 ‘석유 재벌’ 존 D 록펠러 가문 등이 창업과 기업화를 거치며 축적한 부를 여기저기에 베팅하는 투자자로 변신했다. 현재 카네기나 록펠러 가문 어느 누구도 철강이나 석유 회사를 경영하는 인물은 없다. 여러 회사의 지분을 사들여 시세차익을 노릴 뿐이다.
페이지가 투자에 동원 가능한 자금은 700억 달러(81조2000억원, 올 6월 말 현재)에 이른다. 구글이 지금까지 축적한 현금자산이다. 두 사람이 벤치마킹하는 버핏·멍거의 현찰(550억 달러)보다 많다. 버핏이 인수합병(M&A)하는 것만큼이나 페이지의 M&A도 글로벌 시장을 들었다 놓았다 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의 현금 자산이 내년 말엔 1000억 달러를 넘어선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페이지 M&A의 충격파가 버핏을 능가할 수도 있을 법하다.
페이지와 브린이 투자자로 변신하는 사이 기업 문화도 크게 바뀔 전망이다.
영국 BBC 방송은 이날 전문가의 말을 빌려 “구글의 상징어가 ‘창업’ ‘도전’ ‘실험’이었다면 알파벳은 ‘효율’ ‘실적’ ‘관리’일 것”이라고 했다. 구글이 현재 진행 중인 무인 자동차 개발 같은 실험이 줄어들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그러면 벤처기업 특유의 생동감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정보기술(IT) 마케팅 이론가인 레지스 매키너는 “벤처기업에서 경영을 앞세우는 것은 일종의 매너리즘(타성) 강화”라며 “이는 모든 기업의 숙명”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공룡의 다이어트…`회사 내 회사 + 사내벤처` 합친 새로운 실험 (0) | 2015.08.12 |
---|---|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 벤처정신 되찾자…'두 번째 창업' 나섰다 (0) | 2015.08.12 |
구글 경영 손떼는 두 창업자...한국, 오너 일가 경영권 분쟁에 시사점 (0) | 2015.08.12 |
사물인터넷(IoT)을 준비하기 위한 기업의 DNA (0) | 2015.08.11 |
사물인터넷(IoT)으로 인한 산업과 노동시장의 변화 (0) | 201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