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위험 점점 커지는데.. 정부정책 '묘연'
세계일보 2015.03.09(월) 류순열 기자
작금 가계부채는 설상가상의 상황이다. 진작에 위험수위를 넘어섰다는 경고가 쏟아진 터에 증가세는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정책은 묘연하기만 하다. 가계부채를 늘리는 정책을 유지하면서 가계부채 비율(소득 대비)은 줄이겠다고 한다. 부채보다 소득이 더 빨리 증가한다면 가능하겠지만 저성장 흐름에서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희망사항'이다.
소득을 대폭 늘릴 수 없다면 부채 증가속도라도 떨어뜨려야 하는데 그런 정책은 보이지 않는다. 가계부채를 급증케 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는 지속될 전망이고 추가 금리인하 압력도 거세다. 가계부채를 늘리는 정책은 오히려 강화하는 기류다.
당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지난해 8월 완화된 DTI·LTV 규제를 원상복귀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임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하루 앞둔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준·민병두·신학용·이종걸 의원에게 제출한 서면답변 자료에서 "현 시점에서 LTV·DTI 규제 수준을 강화하면 실수요자들의 자금 이용을 줄여 디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결국 빚 권하는 정책을 지속한다는 건데, 그러면서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을 떨어뜨리겠다고 한다.
<중략>
지난해 9월 말 독일 금융회사 알리안츠가 펴낸 '글로벌 부(富)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말 세계 주요 53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65.1%인데 한국은 92.9%로 아시아 최고였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임금 동결) vs 포드(임금 인상)...한국 경제를 위한 길은? (0) | 2015.03.10 |
---|---|
하나대투증권 "미국, 오는 6월에 금리 인상이 상대적으로 유력하다" (0) | 2015.03.10 |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왜 다급히 주택 가격 급락 경고했나 (0) | 2015.03.10 |
한국개발연구원(KDI) "집값 2~3년뒤 급락"…인구구조 변화로 수요 부족 (0) | 2015.03.10 |
포노 사피엔스(phono-sapiens·지혜가 있는 전화기)와 노모포비아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