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성전자, 국내 카드 6개사와 제휴…"삼성페이 이르면 4월 국내 서비스"
조선일보 2015.03.03(화) 안재만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5030302705
마그네틱 카드 단말기 그대로 사용 최대 장점 "보안 단점 지문 인증 등으로 보완"
삼성전자가 삼성카드, 신한카드 등 6개 카드사와 제휴를 맺고 이르면 오는 4월 갤럭시S6 출시에 맞춰 국내에서 오프라인 간편결제 ‘삼성페이’ 서비스에 나선다. 식당 백화점 등 오프라인 결제사업은 신용카드사들이 꽉 잡고 있는 영역이어서 ‘삼성페이’의 성공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페이는 삼성전자(005930)의 새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S6에 탑재된다. 갤럭시S6는 다음달 10일 한국,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 20개국에서 동시 출시된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삼성페이의 성공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인수한 루프페이의 마그네틱 기술을 채용하고 있어 애플페이, 구글월렛 등과는 달리 전국 220만개 가맹점의 카드단말기를 교체할 필요없이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그네틱 기반 기술은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 /조귀동 기자
◆ 삼성페이, 마그네틱 카드 단말기 그대로 사용 ‘최대 장점’ ...제도상 걸림돌도 없어
<중략>
삼성페이의 국내 서비스는 제도상 별다른 걸림돌도 없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삼성이 정확히 어떤 모델을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도입 절차가 다르다”면서도 “전자결제대행업체(PG사)로 등록하지 않고 결제도 직접 하지 않는다면 서비스하는데 그리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아직 삼성측에서 요청이 온 것은 없지만 우리가 먼저 사업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있지 않은지 문의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루프페이 장비가 장착된 스마트폰을 결제 단말기에 갖다대 비용을 지불하는 모습 /루프페이 제공
◆ 삼성페이 최대 단점 보안…”지문 인증 등으로 단점 보완”
그러나 삼성페이와 같은 마그네틱 기반 기술은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한 보안 전문가는 "마그네틱 카드의 경우 6만원짜리 리더기로 1초만에 모든 정보를 복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략>
또 다른 문제는 우리나라가 2018년 7월 이후 마그네틱 단말기를 없애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2년만 쓰일 수 있는 시한부 기술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전세계를 기준으로 보면 대부분의 가맹점이 마그네틱 기반이어서 이와 관련한 기술을 내놓은 것 뿐"이라며 "NFC 시대에도 충분히 대응해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LG전자의 플랫폼 독립선언...구글, 중국 기업에 애정전선 (0) | 2015.03.04 |
---|---|
[MWC 2015] 구글, 새로운 모바일 결제 플랫폼 '안드로이드페이' 출시 (0) | 2015.03.04 |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5' 3대 키워드…핀테크·스마트워치·스마트카 (0) | 2015.03.04 |
순다 피차이 구글 부사장,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진출 공식화 (0) | 2015.03.04 |
아마존, 당분간 국내 전자상거래에는 직접 진출하지 않고.해외판매만 한다 (0) | 201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