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넷플릭스가 일깨워준 질문들
2015.01.21(수)
http://mediatopping.com/2015/01/21/oh-netflix-nothing-but-netflix/
아마라의 법칙(Amara’s Law)은 말한다.
“사람들은 기술의 단기적인 영향력은 과대평가하고, 장기적인 영향력은 과소평가한다.” 고.
그런가 하면 2013년 4월 ‘뉴욕매거진’의 칼럼에서 프랭크 리치(Frank Rich)는 말한다.
“우리는 대륙횡단열차의 건설이나 전기의 발명처럼 시장을 단숨에 쓸어버릴 수 있는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중략>
어제 그제 동아일보의 기사가 나온 뒤, 미디어업계의 반응은 극단적이다. 한쪽에서는 과대평가하고 한쪽에서는 과소평가한다. 과소평가하는 쪽에서는 국내의 미디어 시장 환경을 이야기하고, 과대평가하는 쪽에서는 넷플릭스의 가공할 빅데이터 분석 등을 말한다. 그 어느 지점에서도 정작 있어야 할 넷플릭스가 어떤 기업이고 무엇을 하는 기업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아니, 왜 넷플릭스를 기술 기업이라고 하는지를 논하지는 않는다.
넷플릭스의 빅데이터에 관한 글이라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나온 보고서를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을 터지만, 빅데이터는 넷플릭스를 설명하는 일부분일 뿐이다.
넷플릭스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게 되면 냉정한 판단보다는 오류와 억측을 초래할 수 있다.
진입방정식
우선 해당 <동아일보> 기사는 사실 여부를 떠나서 단말기 사업자와 넷플릭스의 연대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적어도 넷플릭스가 국내에 들어올 때 상상할 수 있는 조합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현재 시장에서 예상해 볼 수 있는 넷플릭스의 진입 방정식을 크게 나누면 <단독 진입>과 <제휴를 통한 진입>이다. 다만, 제휴를 JV란 물리적 형태에서부터 단순 프로모션에 이르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상상해 볼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시나리오가 그리 많지는 않다.
<중략>
진입 방법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굳이 그 자체에 지나치게 힘을 뺄 필요는 없다. 그 보다는 과도한 우려나 과도한 폄하를 하기에 앞서 넷플릭스가 도대체 어떤 기업인지에 대한 사실 관계 파악이 우선이다.
여기서는 그동안 기타 블로그 등에서 찾아볼 수 없거나, 설사 있더라도 가볍게 언급되었던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만 언급하고자 한다.
1. 넷플릭스의 현재
<중략>
2. 넷플릭스, 최소 콘텐츠로 최대 효과를 거두다
<중략>
3. 넷플릭스는 한국에서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일견 맞는 표현이다. 그러나 여기선 분명히 ‘성공’이란 개념에 대한 개념적 조작이 필요하다. 얼마나 많은 가입자를 확보해야 성공한다고 할 수 있을까? 200만, 400만.. 그 수치를 정확히 이야기하긴 힘들지만, 적어도 넷플릭스의 국내 진입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1) 유료 방송 사업자의 가입자 규모와 2) 수신료의 곱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접근이 맞을까?
그럼 이렇게 질문을 던져보자. 1000원을 번 사람이 있고, 1만원을 번 사람이 있다. 누가 성공했을까? 1만원이라고 대답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그건 오류다. 비용을 판단한지 않았기 때문이다. 1천원을 벌었더라도 비용이 100원이었다면 그 사람은 900원을 벌었다. 그러나 1만원을 벌었다고 생각하지만, 비용이 1만3천원이었다면 실제론 3천원이다. 따라서 특정 사업자의 가입자 규모와 매출액만으로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건 지극히 협소한 판단이다.
<중략>
4. 넷플릭스는 기술 기업이다.
<중략>
넷플릭스는 기술기업이다. 바로 이 지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그 수익은 기술에서 나온다. 우수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Hulu가 시장에서 수익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고, 일본에서 철수까지 했지만, 넷플릭스는 기술적 기반으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소비자의 기술적 만족도는 최대한 확보하는 기술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국내 시장에 질문을 해야 할 지점은, 넷플릭스가 언제 들어오는 시점이나 그것이 국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섯불리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기술 수준이 어디쯤인지를 묻는 것이어야 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경이면 '로봇'이 주변 상황의 변화를 스스로 설명하게 된다 (0) | 2015.01.24 |
---|---|
구글, 올해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사업 진출 예정...프로젝트 노바 (0) | 2015.01.23 |
다음카카오 페이지, 서비스 오픈 1년 8개월 만에 일일 매출 1억 돌파 (0) | 2015.01.23 |
마이크로소프트(MS), 차세대 OS `윈도10` 주목해야 할 7가지 새 기능 (0) | 2015.01.23 |
미국 IoT 제조벤처, 크라우드펀딩 타고 날 때...한국, 규제로 활성화 요원 (0) | 201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