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한국사회 덮치는 세 차례 퇴직 쓰나미...은퇴해도 못 쉬는 '반퇴시대' 왔다

배셰태 2015. 1. 15. 12:28

은퇴해도 못 쉬는 '반퇴시대' 왔다

중앙일보 2015.01.15(목) ◆특별취재팀=김동호·김기찬 선임기자 / 박진석·박현영·염지현·최현주·박유미·김은정 기자

http://mnews.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16937010

 

현대중 1500명 구조조정

 

<중략<

 

그러나 최근 50대 조기 퇴직은 앞으로 5년 후 덮칠 ‘퇴직 쓰나미’에 비하면 예고편에 불과할 수도 있다. 1955~63년생 1차 베이비부머 세대(710만 명·14.3%)의 퇴직 쇼크가 가시기도 전에 2차 베이비붐 세대인 68~74년생(604만 명·12.1%) 퇴직이 바로 이어진다. 그 뒤엔 1차 베이비부머의 자녀인 에코 베이비붐 세대(79~85년생 540만 명·10.8%)가 기다리고 있다. 55~85년생 퇴직이 30년 동안 숨 돌릴 틈 없이 이어진다는 얘기다. 특히 인구 비중이 높은 ‘386세대’(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 대학을 다녔고 30대였던 90년대 진보정권 탄생을 주도한 세대)의 선두주자인 60년생이 만 60세가 되는 2020년 전후엔 법정 정년으로 퇴직할 인구가 한 해 80만 명이 넘는다. 여기다 구직 시장을 떠나지 못한 조기 퇴직자까지 엉킨다.

 

 

386세대부터는 평균수명도 높아졌다. 2013년 생명표 기준으로 기대여명은 평균 81.9세(남 78.5세, 여 85.1세)에 이른다. 전광우(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연세대 석좌교수는 “사고나 중대 질병을 겪지 않으면 90세까지 살 수 있다는 의미”라 고 지적했다. 이러다 보니 퇴직하고도 은퇴하지 못하고 수십 년 구직 시장을 기웃거려야 하는 ‘반퇴(半退) 시대’가 일상이 됐다. 본지가 지난해 12월 만 40~59세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이런 변화가 감지된다.

 

앞으로 30년간 퇴직 쇼크 … “노후 준비 패러다임 바꿔야”

 

이미 퇴직을 경험한 55~59년생 다섯 중 네 명이 지금도 일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국내 민간기업의 실질 퇴직연령이 평균 53세를 갓 넘긴다는 점을 고려하면 퇴직자 상당수가 재취업·창업·귀농 등을 통해 구직 시장을 떠나지 않은 셈이다.

 

<중략>

 

그러나 국내 제도와 관행은 여전히 고도성장기에 맞춰져 있다. 내년부터 정년이 연장된다고는 하나 실제 정년이 늘어나자면 임금피크제나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등 후속 대책이 따라줘야 한다.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동시장 개혁이 이뤄지지 않은 채 386세대의 퇴직 쓰나미를 맞는다면 좌우 이념대립 못지않게 세대 간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퇴 시대가 장기화하면 경기회복도 요원해진다. 무직과 비정규직을 오가며 30년을 버텨야 하는 반퇴 시대 퇴직자들이 많아지면 안 그래도 위축된 소비가 꽁꽁 얼어붙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