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지도 검색 했을 뿐인데, 역사, 관광 등 정보가?

배셰태 2010. 8. 13. 11:28

         

 

 

 

모 포털사이트의 TV광고를 보면, 검색어 하나만 치면 연관된 내용까지 검색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어떤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지리정보와 인문정보를 따로 찾지 않아도 지능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찾아 보여 준다면 실생활에 보다 편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이처럼 첨단 IT 기술로 인해 공간과 인문정보를 통합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시맨틱웹 기반의 공간정보와 인문정보의 통합을 통한 차세대 GIS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게 되어

큰 관심과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첨단 IT 및 공간정보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인문지리정보 통합 및 서비스 체계 구축 실험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 했다고 밝힌 것인데요. 다시말해 지도에서 위치를 확인하면 그 곳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관광, 역사 등)이

연계되어 나오게 되는 것으로, 기존에는 따로따로 찾아야했던 것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를 인문지리정보 포탈을 이용 검색한 결과 화면>


 
이 사업은 첨단 IT 기술을 적용하여 공간정보기반의 각종 인문 지리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인문지리정보 통합 및 서비스 체계 구축 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사업으로, 실험사업에서 구현 가능성이 입증되어

이를 토대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전국적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이미 전국적으로 수치지도 등의 공간정보를 구축한 바 있는데요. 지리적 내용과 일정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기술한 한국지리지 등을 책자형태로 발간하여 왔습니다. 이렇게 책자형태로 발간되던

한국지리지 등을 최신 IT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인문지리정보를 공간정보와 결합된 Web서비스 형태로 개발하여

인문지리정보가 더 많은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것인데요.
 
이번 실험사업에서는 최신 IT기술인 시맨틱웹과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공간정보상에 각종 인문지리정보를 중첩·융합

(매쉬업)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추진된 실험적 사업이었습니다.
 
참고로 시맨틱 웹이란 ‘컴퓨터가 정보의 의미를 지능적으로 이해하고 정보들 간의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첨단 웹'을

뜻하며, 온톨리지(Ontology) 기술은 시맨틱 웹을 구현하기 위해 실세계의 지식을 기계가 처리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2008년부터 기술표준원(KATS)과 함께 국가 기술표준정보 서비스에 시맨틱

웹 기술을 적용시키는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으며, 지난 3월 정보제공 범위와 활용성을 크게 높인 통합연계검색시스템을

구축해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www.standard.go.kr)를 통해 선보인 바 있습니다.
 
[관련링크]

W3C Case Study: http://www.w3.org/2001/sw/sweo/public/UseCases/Kisti/

기술표준정보 통합연계검색 서비스: http://www.standard.go.kr/ontology.asp 
 


검색 한 번으로 공간, 인문 정보 확인 가능

 

금번 실험사업은 (구)서귀포시를 대상으로 인문지리정보 12개 분야 중에서 역사․관광․산업 3개 영역을 대상으로

인문정보를 수집ㆍ분석하여 통합 DB 및 온톨로지를 구축하였고, 공간정보와 인문정보를 지능화(온톨로지)함으로써

상호 관계를 표현하고 검색의 확장과 연관된 정보를 보여 주는 시맨틱 검색이 가능하도록 개발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김정희”를 검색하면 추사 김정희의 유적지소개, 관련 유물 및 역사적 관련 인물, 김정희와 관련된 관광명소

소개, 각종 공간정보에 대한 지도서비스 등이 제공되는 것입니다. 한 번의 검색만으로 다양한 공간정보 및 인문지리정보를

입체적으로 제공받게 되며, GIS체계를 활용하여 검색결과의 시각화와 지도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죠.
 

 

                       

                       <시맨틱웹서비스를 활용하여 추사김정희 검색 화면>


 
실험사업에 이어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시범사업이 금년 8월부터 착수되었으며, 시범사업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모든 지역의 다양한 인문지리정보를 구축하고 누구나 손쉽게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대국민 웹 및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추진할 계획인데요.
 
향후, 유관기관 및 민간에서 다양한 인문지리정보를 표준화된 개방형 연계서비스(Open API)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연계·활용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누구나 쉽고 편리한 공간정보 접근이 가능하고, 개방·연계·융합

활용이 이루어진 공간정보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국토해양부 '행복누리'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해 행복누리 공지사항 내 '행복누리' 블로그 댓글 정책 안내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국토해양부 블로그 행복누리::
글쓴이 : 행복누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