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소비재 시장 판도 바꾸는 SNS의 힘..마케팅 주도권, 제조업체서 소비자로

배세태 2014. 11. 22. 05:33

소비재 시장 판도 바꾸는 SNS의 힘

한국경제 2014.11.20(목) 강진규 기자

http://m.hankyung.com/apps/news.view?aid=2014112062731

 

 

<중략>

 

SNS, 기업엔 ‘양날의 검’

 

허니버터칩의 대박을 계기로 SNS의 파괴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긍정적인 내용이 재생산되면 매출이 급증하지만, 부정적인 이슈가 퍼질 때는 회사가 휘청거리기도 한다. 이처럼 SNS가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자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중략>

 

롯데제과도 SNS를 통해 히트 상품을 냈다. 지난해 12월 출시한 캐러멜 말랑카우는 첫달 3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데 그쳤지만, 올 들어 SNS 이용자들이 제품을 구워먹는 레시피를 소개하면서 월매출 30억원대로 10배나 뛰었다.

 

석촌호수에 전시했던 러버덕은 초기 바람이 빠지는 사고가 SNS를 타고 소개되면서 관련 상품 매출이 크게 늘었다. 11번가에 따르면 지난달 14일부터 이달 18일까지 러버덕 관련 상품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0% 증가했다.

 

마케팅 주도권, 제조업체서 소비자로

 

기업 마케팅 관계자들은 최근의 SNS 성공사례를 보면서 마케팅의 주도권이 제조 업체가 아닌 소비자로 넘어갔다고 분석하고 있다. 롯데제과 마케팅팀 관계자는 “제품 기획 당시엔 상상도 못했던 구워먹는 레시피가 인기를 끌자 현업에서는 오히려 당황했다”며 “마케팅에만 기대지 말고 초심으로 돌아가 제품의 품질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SNS의 파급력은 해외 판매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장품업체 잇츠스킨의 달팽이 크림 ‘프레스티지 끄렘 데스까르고’는 중국의 대표 SNS인 웨이보에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소개되면서 판매가 급증했다. 지난해 1년간 70만개가 판매됐던 이 제품은 지난달까지 440만개가 팔렸다.

 

반면 SNS를 통한 부정적 여론 확산을 막지 못해 피해를 본 곳도 있다. 올여름 악취논란에 시달렸던 오비맥주가 대표적이다. SNS상에서 ‘카스맥주에서 소독약 냄새가 난다’는 소문이 퍼진 것이 발단이 됐다. ‘가임기 여성은 마시면 위험하다’는 괴담까지 나돌았다.

 

<중략>

 

롯데백화점 중국인 블로거 초청

 

이 때문에 기업들은 SNS 상에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21일부터 3일간 중국에서 하루 30만명이 방문하는 패션·뷰티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는 웨이단·웨이청 자매를 초청해 백화점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김홍국 하림 회장과 이금기 일동후디스 회장은 회사 페이스북 페이지에 매일 접속해 회사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의 내용과 호응도 등을 직접 체크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다른 기업에 비해 2배 정도 많은 10여개의 SNS 채널을 관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마케팅실에 SNS 등을 관리하는 직원만 100여명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