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칼럼 2010.08.02 (월)
..중략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4 이동통신 사업(MVNO)` 정책은 시사점이 크다. 현재 제4 이동통신사를 추진하는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고 기존 통신사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대기업이다. `빅3`의 대기업만 존재하는 통신시장에 중소기업이 사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러나 제4 이통사 도입을 한 달 남겨놓은 상황에서 정부와 기존 이통사, 예비 MVNO 사업자 간 극심한 의견 차이를 드러내 연내 시행이 불투명해졌다.
특히 정부의 역할이 아쉽다. 선진국에 비해 5년 이상 도입이 미뤄진 제4 이통사 에 필요한 것은 `균형감`보다 중소기업에 사업할 `무대`를 만들어주고 공정 경쟁할 수 있도록 관리ㆍ감독하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대기업의 이익에 가슴 아파하기보다 정책 실패로 중소기업이 방송통신시장에 설 땅이 없어지고 있음을 슬퍼해야 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네이버,다음 조회수 많은 카페 모아놓은 것 (0) | 2010.08.02 |
---|---|
제4 이동통신사(MVN0) 설립 통신시장 '빅뱅' 오나 (0) | 2010.08.02 |
美 베스트바이, MVNO 시장 `기웃` (0) | 2010.08.02 |
최근 선본인 이동통신3사 결합상품의 명암 (0) | 2010.08.02 |
‘요금제’로 맞짱뜬 KT-SKT, 주도권 다툼 “밀리면 끝장” (0) | 201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