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美 'TGiF 제국' 위협하는 中 '인터넷 삼총사' BAT(Baidu·Alibaba·Tencent)

배셰태 2014. 3. 24. 10:01

美 'TGiF(Twitter·Google·iphone·Facebook) 제국' 위협하는 中 '인터넷 삼총사' BAT(Baidu·Alibaba·Tencent)...

조선일보 2014.03.24(월)

 

-뉴욕증시 IPO 앞둔 '알리바바'
온라인장터서 전자결제까지… 2400억달러 거래, 아마존 2.5배
상장땐 시가총액 3위 차지할듯

-中 검색 1위 '바이두'
작년 매출 5조5000억원… 5년만에 10배 이상 급성장

-中 게임·메신저 강자 '텐센트'
인기게임 LoL 만든 美 기업 인수, 한국 카카오 지분도 10% 확보

 

中 대표 인터넷 기업의 지난 5년간 기업가치 변화.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지난 17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기업공개(IPO)를 신청했다. 기업공개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알리바바의 시가총액은 2000억달러(약 216조원)에 달할 것으로 맥쿼리그룹은 내다봤다. 페이스북(1716억 달러)을 제치고 구글·아마존에 이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비싼 인터넷 기업이 되는 것이다.

알리바바뿐만이 아니다. 'BAT'로 대표되는 중국 인터넷 기업들은 거대한 자국 시장에서 거둔 폭발적 성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향해 진격 중이다. BAT는 바이두(Baidu),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의 앞글자를 따서 부르는 말. 중국의 BAT는 미국의 대표적 인터넷 기업군인 'TGIF(트위터·구글·애플아이폰·페이스북)'에도 밀리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글로벌로 진격하는 중국 인터넷 기업군 BAT

 

<중략>

 

한국 시장도 사정권에

중국 인터넷 기업의 무서운 성장세는 한국 기업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인터넷 서비스에는 국가 간 장벽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들이 한국어 서비스를 내놓을 경우 곧장 국내 업체들과 경쟁이 불가피하다. 이미 국내에는 알리바바 쇼핑몰에서 물품을 직접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나타났다. 국내 PC방에서 인기 1위 게임인 LoL도 텐센트 그룹에 속해 있다. 네이버 계열사 라인플러스의 강현빈 해외 사업 개발 담당 이사는 "중국 인터넷 기업들은 12억 인구에게 서비스를 운영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시장까지 공략하는 중"이라며 "거대한 사용자층에서 확보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 수준을 빠르게 개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 국내 인터넷 기업 고위 관계자는 "한국 정부는 구글·애플 같은 다국적 기업에는 규제를 유예하면서 만만한 국내 기업에만 공인인증서 같은 규제를 걸고 있다"며 "규제만 줄여줘도 한국 인터넷 기업의 경쟁력이 배가(倍加)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