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구글, 레노버에 3조원에 모토로라 매각

배셰태 2014. 1. 31. 14:59
IBM-모토로라 삼킨 레노버, 공룡되기까지...
ZDNet Korea  2014.01.30(목)
`모토로라 품은` 레노버, 삼성-애플 추격 선언
파이낸셜뉴스 2014.01.30(목)
레노버, 3조원에 모토로라 인수…"스마트폰 강자 급부상!"
스포츠서울 2014.01.30(목)
 
레노버, 모토로라 인수…스마트폰 세계 3위 업체로 급부상

 머니투데이 2014.01.30(목)

 

구글, '조립폰 프로젝트'는 안 넘겼다

아이뉴스24 2014.01.30(목)

 

구글, 레노버에 모토로라 매각…득과 실 기업은?

이코노믹리뷰 2014.01.30(목)

=========================================

구글이 모토롤라 124억달러에 사서 29억달러에 레노보에 매각했는데.. 저의 생각.

손재권 매일경제 기자 페이스북 2014.01.30(목)
https://www.facebook.com/jaekwon.sohn/posts/10152222953818523?notif_t=like

 

구글이 모토롤라를 29억달러에 레노보에 매각했습니다. 내일자 신문이 있다면 많은 미디어들이 한바닥 썼을만한 스토리인데 .. 이 건 어떻게 보도했나고 궁금한데. 외신을 참고하지 않은 저의 생각을 써 봅니다. 미국에서 나오는 뉴스를 교과서처럼 읽어봐야 그들 이익과 관련된 얘기입니다. 이번 건을 두고 외신 등을 인용하면서 남의 얘기처럼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한국 제조업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우리의 일자리와 직결된 스토리입니다.

1. 하드웨어(휴대폰 제조 ) 가치 낮추기
-구글은 인수합병 통해천문학적인 금액으로 기업을 사거나 팔면서 시장에 시그널을 줍니다. '적정가'라는 것은 없습니다. 구글은 그들이 계산한 가격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들이 눈치를 보는 것은 '생태계'뿐입니다.
-유튜브를 16억5000만달러(2006년) 인수할때 미쳤다고 했지만 지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모토롤라를 2012년 5월 124억달러에 사서 만 2년도 안된 2014년 1월 1/4 가격인 29억1000만 달러에 매각합니다. "스마트폰 제조의 가치는 이 정도로 하기로 한다"며 일부러 저렴한 가격에 팔기로 작정한 듯하게 느껴집니다.
-직원 300명의 네스트를 32억달러에 샀는데 "모토롤라는 네스트보다 싸다"는 신호를 시장에 줍니다. LG전자 MC사업부를 매각(할리 없지만) 해도 이 정도 가격이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 제조 가치를 낮추면서 안드로이드 생태계 확대하고 가치사슬을 서비스 및 OS로 계속 유지가 됩니다.

2. 모바일 특허 무료화(무효화)
-모토롤라를 레노보에 매각하지만 모토롤라 특허를 자신들도 보유하고 레노보도 쓸 수 있게 합니다. 구글은 삼성과도 최근 과거는물론 향후 10년간 크로스 라이선스 맺었습니다.
-모바일 제조 특허는 사실상 무료화 해서 .. 이것도 모바일 제조 가치 낮추기 움직임으로 저는 보여집니다.

3. 웨어러블 및 홈, 로봇이 미래라고 본다
-래리 페이지는 "모바일 경쟁 너무 너무 격하다. 웨어러블과 홈 시장은 모바일 시장은 다르다. 우리는 이렇게 성장하는 새 생태계(웨어러블과 홈) 안에서 제품이 나오는 것에 흥분된다"고 말했습니다.
-구글이 원하는 것은 자신들이 별로 할게 없는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 제조 비용을 지속적으로 낮추면서 웨어러블이나 홈 등 제조 비용은 낮으면서 서비스, 소프트웨어 가치를 극대화하는 제품에 '미래'를 두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이 최근 로봇 회사 많이 샀는데 .. 이것도 당연한 움직임입니다. 세계 최고 소프트웨어 로봇 회사가 하드웨어 로봇 사는 것은 점심 먹은 후 시간이 흘러 배가 고파서 저녁 먹는 것과 같습니다. 

4. Fast Electronics
-제가 최근 발표한 7대 메가트렌드에도 있지만 앞으로 유니클로, 자라, H&M 등 Fast Fashion에 이어 중국발 Fast Electronics도 유행할 수 있을 것 같은데 .. 하도 제품과 표준이 빠르게 변하니 100, 200불짜리 사서 1~2년 쓰다가 버리는 것이죠.
-레노보는 Fast Electronics의 유력 주자입니다. 2005년 IBM 노트북 싱크패드 인수해서 8년만인 지난해 세계 1위 노트북 제조사가 됐습니다. 최근엔 저가 서버도 인수하더니 이번엔 모토롤라 인수. 브랜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즉, 레노보는 불과 8년전의 IBM+모토롤라인 회사인 것이죠.
-레노보는 자국에서는 레노보로 하고 해외에서는 모토롤라 브랜드 써서 점유율 높이면 됩니다.

5. 아시아메라카(Asiamerica)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사랑했던 브랜드가 자꾸 해외에 팔리니 슬픈 듯. 래리페이지 포스팅 댓글보니 실망과 격앙의 목소리가.
-예전엔 Beloved 브랜드를 일본인들이 샀는데 이젠 중국인들이 사고 있음. 중국, 일본, 한국 무슨 상관있겠냐. 아시안들이 자꾸 파고 들어오는구나 라는 생각.
-어쨌든 .. 미국이 끌고가고 동북 아시아(한중일)가 받쳐주는 글로벌 정치,경제,경제,산업,문화,체육 등등 구조.
-글로벌 헤게모니는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넘어왔음. 앞으로 100년간 지속될 것임.

 

http://googleblog.blogspot.kr/2014/01/lenovo-to-acquire-motorola-mobilit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