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특정 상품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효과.
[본문]
어느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효과를 말한다.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해 다른 사람의 수요에 영향을 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경제현상으로, 1950년에 미국의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 1922∼1994)이 이론의 기초를 세웠다. 네트워크외부성이라고도 하며, 악대차(樂隊車)효과와 속물(俗物)효과의 두 종류가 있다.
악대차효과는 어떤 사람들이 유행을 이끌면 다른 사람들이 그에 따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 서부개척시대에 악대를 끌고다니던 포장마차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악대가 소비심리를 충동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적용한 것이다. 밴드웨건효과(bandwagon effect) 또는 편승효과라고도 한다.
한편, 속물효과는 값이 비싸고 희소성이 있는 상품에 집착하는 사람의 속물적인 마음에서 붙여진 용어이다.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는 구매심리를 뜻한다.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자신은 남과 다르다는 생각을 갖는 현상으로, 뭔가 고상한 듯 보이는 백로같다고 하여 백로효과(白鷺效果)라고도 하며,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도 한다.
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81894
===============================================================================
네트워크 효과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효용이 한 개인의 소비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의 소비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외부성이라고도 한다. 다시말하면, 구매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게 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그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 수록 그 사용가치는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 효과는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와 스놉 효과(snob effect)로 나뉘는데 밴드웨건 효과는 많은 사람들이 사는 물건이라고 하면 필요여부에 상관없이 따라 사는 소비심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스놉 효과는 남들이 많이 사는 것은 구입하기 싫어하는 소비심리를 이용한 것이다.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D%9A%A8%EA%B3%BC
=============================================================================
사람들이 한 시장에서 선점된 기술이나 제품들을 의례히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터넷 초보자가 인터넷 검색엔진을 선택할때 이미 검색엔진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야후나 알타비스타를 자연스레 선택하는 행위를 네트워크 효과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출처: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는 크라우드 소싱이 대세..소셜소싱으로의 진화 (0) | 2010.07.15 |
---|---|
대만의 HTC 스마트폰 사랑 (0) | 2010.07.13 |
REACH - 신화학 물질 관리 제도 (0) | 2010.07.13 |
SRI[Social Rsponsibility Investment]-사회책임투자 (0) | 2010.07.13 |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기업의 사회적 책임 (0) | 201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