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2013. 10.01(화)
미래창조과학부가 특허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함께 지난 5월부터 준비한 온라인 포털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을 어제 개설했다.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사업 아이디어를 올리면 기술특허, 자금, 창업 등까지 원스톱으로 사업화를 지원하는 ’오픈 플랫폼’이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나 대학 혹은 기존 산업계 전문가들이 지식과 기술을 더해 제품이나 서비스로 발전시키도록 지원해주는 구조다. 중간 과정마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멘토로 도움을 주는데, 데니스 홍 버지니아 공대 교수와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회장을 비롯한 전ㆍ현직 과학기술자ㆍ벤처 1세대 창업자 등 641명이 재능기부 차원에서 멘토로 참여키로 했다고 한다. 특히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데 필요한 정부와 민간의 지원정보를 한곳에 모아 맞춤형으로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니 기대가 크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의 설명처럼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이 있지만 투자자를 만날 기회가 막혀 있는 경우,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창업하고 싶지만 사업화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창조경제타운이 도전할 기회를 주는 곳이 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창조경제타운이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몇 가지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제시된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에 이어 사업화하려면 현행 제도 아래에서는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할 것이다. 분야별 전문가를 끌어들이는 멘토링 제도도 취지는 좋지만 재능기부 형식으로 채워넣는 맨토에게 양질의 자문이 지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개적인 교류의 장에서 공신력을 잃는 사례가 나오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창조경제타운은 요란한 소리만 내는 데 그치지 말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창출의 창구로 자리잡아야 한다. MB정부의 녹색성장, DJ정부의 신지식인처럼 용두사미로 끝나선 안 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경제, 기업의 뿌리부터 살려라-김화균 헤럴드경제 산업부장 (0) | 2013.10.01 |
---|---|
녹색경제를 창조경제정책으로 육성해야-한동만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 (0) | 2013.10.01 |
[정부 포털사이트] 창업투자 플랫폼 ‘창조경제타운’ 오픈(`13.09.30) (0) | 2013.10.01 |
협동조합 설립 '노크' 40·50대가 절반…경제적 어려움에 '창업 연계' 성격 (0) | 2013.10.01 |
창조경제 아직도 박정희에게서 배워라-좌승희 KDI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 (0) | 201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