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의 삶이 고통스럽다면 우리가 아직도 희망을 움켜쥐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하지만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다시 희망을 품는 것입니다. '어제는 경험, 내일은 희망, 오늘은 경험을 희망으로 옮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순간'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만약 지금 고통스러운 삶을 경험하고 있다면, 그 고통을 내일의 희망으로 바꿔놓기 위해서는 최선을 다해 오늘을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유일한 방법은 가슴속에 뜨거운 희망의 불씨를 살려내는 것입니다.
날마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희망의 길로 왕래하며 희망의 꽃을 피워내세요. 희망의 씨앗을 언제나 우리들 마음속에 심어져 있습니다. '희망을 가진 사람은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 는 아라비아 속담을 기억하세요. -
창조경제는 '조직이나 국가'보다는 '창의 인간'이 이끈다
http://blog.daum.net/bstaebst/9829
작은 창의가 큰 창조로 자라나고, 일상의 사소한 역발상이 거대한 경제의 핵심으로 자리 잡는 시대로 우리는 나아가고 있습니다. 창의가 권장되고 창의의 결과가 제값을 받고 창조를 이끄는 사람이 제대로 대우받는 사회가 되어야 대한민국이 창조국가가 될 것입니다
세계경제는 실물중심 산업경제에서 정보·지식 중심 지식경제로 전환했습니다. 최근에는 창조경제로의 전환 논의가 한창입니다. 창조경제의 등장은 금세기 최고의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가 물결이론에서 언급한 `수렵사회→농경사회→산업사회→정보사회`로 전환의 연속선상에 있습니다. 정보사회에서 창조사회로의 전환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버금가는 변화로 인식됩니다. -
→ 배세태 네~^^사진이 아주 흥분스러워보여요.ㅎ 가슴이..안뛸래야 안뛸수없는..
'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 > 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6월22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6.22 |
---|---|
2013년 6월20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6.20 |
2013년 6월18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6.18 |
2013년 6월17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6.17 |
2013년 6월16일 Facebook 이야기 (0) | 201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