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모르고 만난 잡스와 그의 친부 http://t.co/CLCDFx2g 60 Minutes에서 설명하는 월터 아이잭슨. 잡스의 육성도 들려줌.Retweeted bybstaebst
-
MBC와 구글이 유튜브 컨텐트 파트터쉽을 체결. 정말 기쁜 소식입니다. http://t.co/onXHbMKoRetweeted bybstaebst
-
어떻게 휴대폰이 38년의 진화를 통해서 아이폰 4S 까지 나오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http://t.co/dmpB35SWRetweeted bybstaebst
-
애플코리아 스토어에 아이폰4S가 떴네요...http://twurl.nl/s4bd7aRetweeted bybstaebst
-
"월스트릿을 점령하라" 시위가 전 세계로 번지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회사들 몇 개가 전세계 경제를 좌우한다는 내용의 과학분석 논문이 발표되어 화제. http://t.co/poc4Tf58Retweeted bybstaebst
-
카다피의 체포 및 죽음을 확인시켜 준 것은 결국 인터넷에 올려진 동영상이었습니다. '동영상(주소) 퍼나르기'를 가능케 해 주는 YouTube의 소셜미디어로서의 힘을 다시 확인시켜 준 사건입니다.Retweeted bybstaebst
-
갤럭시넥서스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소개하는 공식 동영상. 저도 써보고 싶네요. ^^ Introducing Galaxy Nexus. Simple, beautiful, beyond smart http://t.co/8FMGqkl5Retweeted bybstaebst
-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해 UX에 혁신을... http://t.co/4iBw96GI 이제 터치도.. 손가락이냐, 손톱이냐, 손가락 마디(관절)이냐로 구분되는 세상Retweeted bybstaebst
-
PC로도 폭풍수다! Daum 마이피플! 지금 폭풍수다판 이벤트 진행 중 http://t.co/IRn9fYEJRetweeted bybstaebst
-
가다피 사망에 관한 알자지라 영어방송 라이브 스트림. http://t.co/VpX0WS2URetweeted bybstaebst
-
아이폰4S의 대표적 특징으로 꼽히는 음성인식 개인비서 시어리(Siri). 애플이 30초짜리 TV 광고를 내놓았군요. http://t.co/AO7gfLOtRetweeted bybstaebst
-
가을에 그대에게 강추하고 싶은 시인 최돈선의 시집. http://t.co/FQSCuWUqRetweeted bybstaebst
-
삶에서 어찌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가능한 내다보고 피할 수 없는 부분들에 대해서 야무지게 준비를 해야죠. 나중에 남탓하지 하며 툴툴대지 않으려면 말입니다(새벽단상)Retweeted bybstaebst
-
<강연 공지> 부산에서 오전 강연이 있어요. 국제신문사 4층에서 오전 10:20~12:00. <부산시민과 청소년을 위한 국제신문사 희망특강> 부산은 비가 많이 내리고 있습니다.Retweeted bybstaebst
-
리더는 입보다 손과 발로 자신의 신념고과 철학을 보여주는 사람이다. 말발보다 과감한 결단과 추진력으로 끝발을 보여줘야 팀원이 따른다. 말없이 솔선수범하는 리더는 말하지 않아도 팀원이 말업이 따라가는 사람이다 http://t.co/88iptMJ0Retweeted bybstaebst
-
ㅎㅎ 예전의 기억이 가물가물 떠 오르네요 RT“@bstaebst: 어떻게 휴대폰이 38년의 진화를 통해서 아이폰 4S 까지 나오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http://t.co/Pdu5myCZ”
-
가다피의 42년 독재자의 최후... (동영상: http://t.co/DI9gzLKH ) 시리아, 이란, 파키스탄, 북한의 실권자들 어제 밤 잠 못 이루었을지도 모르겠네요? 특히 정일이... 최후는 더욱더 처참하리라 생각Retweeted bybstaebst
-
LTE 시대, '감성 디자인'이 스마트시장 지배 http://t.co/Ner0cg4J 시장점유율이 아니라 마인드 점유율
-
휴대폰가격표시제...실효성은 과연? http://t.co/i5MzuMhj 지경부 내년 부터 휴대폰 가격표시제 실시...일선 대리점 준수는 의문
-
공짜폰 없는 ‘휴대폰 가격표시제’, 고객 부담 가중? http://t.co/UtQTzEcw 가장 큰 손해는 대리점? "소비자 부담 늘어날 것"
-
잘되어야 할텐데요.. RT @bstaebst: 휴대폰가격표시제...실효성은 과연? http://t.co/P1S9E3u1 지경부 내년 부터 휴대폰 가격표시제 실시...일선 대리점 준수는 의문
-
이동통신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민원창구 http://t.co/TInCoN0T 이동통신 3사의 SNS 서비스 형태를 살펴보니 3사 모두 블로그를 비롯해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다
-
기왕 할 거면 통신사는 개통만 제조사가 직접 팔도록 하는게 맞다.
RT @bstaebst: 공짜폰 없는 ‘휴대폰 가격표시제’, 고객 부담 가중? http://t.co/6gjPMgWQ 가장 큰 손해는 대리점? "소비자 부담 늘어날 것" -
-
인터넷윤리대전 UCC포스터 표어 공모전 http://t.co/9mosW9Ur 방송통신위원회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
@LawyerHanWoong Thank you..^^
-
MVNO 사업 성공을 위한 6가지 핵심요소는? http://t.co/LU3fRz0z 문성광 에넥스텔레콤 대표는 사업 성공을 위한 6가지 핵심 요소를 꼽았다.
-
오바마 한미FTA 이행법 서명…한국측 결정만 남아 http://t.co/y2OcdMXR 쏙뽀!
-
버락 오바마 미합중국 대통령, 한·미FTA 이행법 오늘 서명 http://t.co/c5CXYspS 21일(현지시간) 오전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Oval office)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법에 서명
-
국내 첫 민간 임대형 스마트워크센터 문 열어 http://t.co/D0dsD5Gk JDC, 21일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서 개소식
-
트위터로 시민속으로… ‘스마트 경찰’ 뜬다 :http://t.co/PKmPeqwc 일선 경찰서 잇달아 계정 개설…일상생활 올려 ‘친근한 경관’ 홍보
-
구글플러스에 대한 페이스북의 자신감http://t.co/hbzld5YX
-
무서운 애플 시리...구글 뒤집을 핵폭탄 http://t.co/yxW7yzwY
-
"구글 “페이스북 게섰거라”...SNS 신무기 준비" http://t.co/zLdEI6cf 검색기능·안드로이드 OS 등과 통합...경영 전략 변화 “꽃 피었으면 꽃다발로 바꿔야”
-
<장길수의 IT인사이드>(271)MS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홀로데스크' http://t.co/htSUBKL2
-
RT @bstaebst:21세기는 소셜미디어 시대로 소셜환경을 제대로 알고 응용할 수 있는 소셜리더가 사회를 주도할 것이며, 소셜리더쉽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개인과 조직이 성공할 것입니다.
-
그런가...?RT @bstaebst: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으로 설득하거나 만들려 하지 마십시요. 시간 낭비입니다. 사람은 설득당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찿으십니요. 그것이 빠르고 가능한 방법입니다.
-
비온 뒤 무지개 ^^ http://t.co/40VuNmvCRetweeted bybstaebst
-
한·미FTA의 '투자자 국가 제소권(ISD·Investor State Dispute)` http://t.co/IcuNggxq 독소조항 되나?
-
갤럭시S2 LTE로 즐기는 HD영상통화와 총알처럼 빠른 인터넷 http://t.co/8dh6zyFH
-
iOS5, 모바일게임 혁신 불러오나 http://t.co/JgibNzhx
-
Siri가 기존의 음성인식을 넘어 새로운 UI로 자리매김한다면 검색을 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되는 셈. 구글이 장악한 검색시장의 변화? RT “@bstaebst: 무서운 애플 시리...구글 뒤집을 핵폭탄 http://t.co/3KS7e0GG”
'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 > 트위터(기존 계정 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10월25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5 |
---|---|
2011년 10월24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4 |
2011년 10월21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1 |
2011년 10월20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0 |
2011년 10월19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