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용은 와이파이 기능 뺀 피쳐폰 내놓다가 아이폰 따라하고 갤탭, 갤플 따라하고 양심도 철학도 없는 기업 RT @bstaebst: 애플, “삼성전자는 가장 심한 따라쟁이” http://t.co/wRo3YRr
-
@black3578_2 @bstaebst 노바는 애플에서 채택한 디스플레이는 아니죠?
-
SightLines is out! http://bit.ly/fI4G2f ▸ Top stories today via @mike_vss @ldegiorgio @holland_angel @bstaebst @rgruia
-
경쟁력있는 LG가 되길... RT @bstaebst: LG유플러스, 4세대 LTE(롱텀 에볼루션) 서비스 ‘카운트다운’ @zdnetkorea #zdk http://t.co/HKN4MKU
-
갤럭시탭10.1 산뒤 황당한 것 하나. 맥하고 연결이 안됨. 나만 안되는 것인가 했는데 검색해보니 다 그렇다고. 미국에 맥유저가 얼마나 많은데 황당. http://twitpic.com/5e2myqRetweeted bybstaebst
-
오늘 NYT에 실린 Gmail 전면광고. 구글이 요즘 신문에 광고를 부쩍 많이하는 느낌. http://lockerz.com/s/112182090Retweeted bybstaebst
-
페이스북이 애플 iOS를 겨냥한 스파르탄 프로젝트. 웹앱스토어를 만들어서 애플의 통제를 벗어나겠다는 이야기. HTML5 기반의 웹앱이 대세가 될까? http://goo.gl/Uuth2 #insight #wglRetweeted bybstaebst
-
마케팅 측면에서 바라볼 때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분명히 다른 플랫폼이며 전략도 달라야 한다고 - http://t.co/jqAqcM5Retweeted bybstaebst
-
전통적 유통체계를 극복하는 지역사회/소셜 유통. 모두가 함께 하는 세상을 지향하는 사회 - http://t.co/Wl8mnPTRetweeted bybstaebst
-
제가 페이스북 사용자를 모니터링한 이후 처음으로 한국어 사용자 수가 미미하기는 하지만 처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일시적인 현상일까요? 아니면 어떤 한계에 부딪힌 걸까요? 설마 벌써 포화된 건 아닐 거구요. http://j.mp/mpFSnaRetweeted bybstaebst
-
하지만 페이스북의 성장세가 예전같지 못한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저도 제 주위 사람들의 페이스북 사용 동향을 보면 잘 쓰는 그룹은 활발하지만 그렇지 못한 그룹은 사용이 초기보다는 시들해진 모습입니다.Retweeted bybstaebst
-
뭔가 변화가 필요한 시점 같은데 제게 한 가지를 선택하게 한다면 프로필을 페이지로 변환할 때에 데이터가 없어지고 프로필도 없어지는 걸 데이터도 옮겨주고 프로필도 남겨주고 싶습니다. 물론 본인 선택과 판단에 의해서요.Retweeted bybstaebst
-
이러면 친구 5천명에 발묶인 많은 정치인 등 유명한 분들이 페이지로 전환해 현재 600여개 수준인 페이지를 트위터의 1800개 수준으로 늘리면 변화가 시작될 것 같습니다. 또한 트위터만 활용하시는 이외수 선생님과 같은 분들이 페이지를 만드실 수 있도록Retweeted bybstaebst
-
삼성전자 갤럭시S 시판 1년… 2분기 애플-노키아 넘는다 http://bit.ly/lG0L1Y 훌륭한 반전 드라마.. 하지만, 또 다른 반전(안드로이드의 선택이 가져올 부메랑 효과)에 대한 우려와 부진한 태블릿의 미래Retweeted bybstaebst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페이스북 팬(독자)은 1600만명. 페이지 개설 1주년 되는 7월12일엔 1700만명? http://t.co/g1FBXYG 호날두 팬은 2934만명. http://t.co/3tcjyWVRetweeted bybstaebst
-
마릴린 몬로가 지하철 환풍구에서 휘날렸던 치마. 경매에서 460만 달러에 팔리다. 460만 달러=50억원? 그 치마 어따쓸라고ㅋㅋ. 1955년 영화 “7년만의 외출”. http://t.co/AEQ5NM3Retweeted bybstaebst
-
인터넷을 떠돌다 보면 남을 비방하는 일을 무슨 민족의 숙원처럼 생각하는 미숙아들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공부 중에서 가장 큰 공부는 자신의 내면을 제대로 들여다볼 줄 아는 공부지요. 그분들을 위해서 친절한 금자씨가 전합니다. 너어나 잘하세요.Retweeted bybstaebst
-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어쩌다 내게 콜럼버스가 완행인지 급행인지를 물어보는 사람을 만나더라도 절대로 무시하거나 비웃지 않겠습니다. 사람을 대할 때는 머리에 무엇이 들어 있는가보다 마음에 무엇이 들어 있는가를 중시하겠습니다.Retweeted bybstaebst
-
내가 밝게 보면 밝은 것, 내가 어둡게 보면 어두운 것. 세상이 어둡게 보이는 것은 그게 어두울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내가 어둡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 수도. 밝게, 맑게, 긍정적으로(새벽단상3)Retweeted bybstaebst
-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는 창조적 탈바꿈도 신비스럽지만 어떻게 병아리가 그 알 속으로 들어갔는지를 궁금해하는 어린아이의 어리석음도 엄청난 상상력이라고 생각한다. 호기심과 궁금증이 상상력의 진원지다Retweeted bybstaebst
-
다이아몬드 밭(오늘 아침 고도원의 아침편지 중에서)
너무나 많은 사람이
너무나 먼 곳에서 성공을 찾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행운이나 '기적'을 바라면서 말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서 있는 울타... http://dw.am/LZZ9vRetweeted bybstaebst -
소상공인들과 자영업하시는 분들을 무한경쟁에 들여보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해주어야한다.Retweeted bybstaebst
-
삼국지의 유비를 보면서 배우는 점은 비전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것입니다.Retweeted bybstaebst
-
"스마트패드도 '렌털 판매' 첫 등장":http://t.co/A81AADQ 정수기·공기청정기 등 생활용품처럼 스마트패드도 월 통신료만 내면 무료로 빌려쓸 수 있는 이른바 ‘렌털 판매’가 처음 등장했다.
-
"MVNO, LTE 등장…7월 통신업계 ‘꿈틀’ - 노컷뉴스":http://t.co/yxgmSHc 통신시장의 지각변동 예고
-
케이블기술인연합회, MVNO 기술교육 실시 http://t.co/gUHOUG0
-
"내달 본격 사업 앞둔 MVNO 3사 '솔라시아' USIM 채택 ":http://t.co/B2T8lPC
-
"첫 음성 MVNO 등장, "얼마나 싸고 어디서 사나?"":http://t.co/vzVQ3jN 기존 선불요금제 대비 최대 38% 저렴..데이터 사용은 후불 MVNO 서비스 이후 가능
-
아이폰 사용자 ‘탈옥’ 멈출까 http://t.co/qOEhPV6 ‘탈옥폰 기능’ 이젠 아이폰 핵심 기능
-
흐음.RT @bstaebst: 아이폰 사용자 ‘탈옥’ 멈출까 http://t.co/qOEhPV6 ‘탈옥폰 기능’ 이젠 아이폰 핵심 기능
-
-
"갤스2, SKT 일부 유심칩과 호환 안돼 오류":http://t.co/yBJmYRG 호환 오류로 폰 꺼지거나 앱 실행 안돼 / 고객 대상 공지 없어 AS센터 수차례 방문 등 불편
-
2030세대 10명중 6명은 ‘소셜네트워크족’ http://durl.me/ap5cz
-
후덜... RT @bstaebst: "갤스2, SKT 일부 유심칩과 호환 안돼 오류":http://t.co/yBJmYRG 호환 오류로 폰 꺼지거나 앱 실행 안돼 / 고객 대상 공지 없어 AS센터 수차례 방문 등 불편
-
조은 정보 감사~,~ RT @bstaebst: "갤스2, SKT 일부 유심칩과 호환 안돼 오류":http://t.co/yBJmYRG 호환 오류로 폰 꺼지거나 앱 실행 안돼 / 고객 대상 공지 없어 AS센터 수차례 방문 등 불편
-
RT @jungchei: 조은 정보 감사~,~ RT @bstaebst: "갤스2, SKT 일부 유심칩과 호환 안돼 오류":http://t.co/yBJmYRG 호환 오류로 폰 꺼지거나 앱 실행 안돼 / 고객 대상 공지 없어 AS센터 수차례 방문 등 불편
-
스마트폰을 발판으로 시작된 소셜 열풍은 우리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죠? ^^ RT @bstaebst: 2030세대 10명중 6명은 ‘소셜네트워크족’ http://durl.me/ap5cz
-
RT @Better_Internet: 스마트폰을 발판으로 시작된 소셜 열풍은 우리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죠? ^^ RT @bstaebst: 2030세대 10명중 6명은 ‘소셜네트워크족’ http://durl.me/ap5cz
-
"SKT 갤럭시S2 예판 종료, 현장 판매 앞두고 물량 확보 비상":http://t.co/tsYiQP5 갤럭시S2 화이트 출시 앞두고 "없어서 못판다"
-
"오바마, SNS `대선 모드` 전환":http://t.co/cYqmqm7 오바마 미합중국 대통령 캠프 참모진, 트위터.페이스북 운영 개시
-
<특파원 칼럼> 트위터 직접 하는 오바마 http://t.co/YImY3EF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본인이 직접 글을 올리겠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
페이스북 크레딧, 국내 상륙 ‘카운트다운’ @zdnetkorea #zdk http://t.co/EISQzOb 내달 1일부터 한국 등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 13개국에서 페이스북 크레딧을 통한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미국 금융은 지금 구글·애플 앞세워 모바일 혁명중":http://t.co/G6XdvR1 은행들 공격적 진출…美 금융패권 지킴이로 / 리먼사태후 3년간 허송세월한 한국과 대조적
-
"통신3사 대리점, '토요일은 쉬는 날'":http://t.co/CUdIVlF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오는 7월 1일부터 통신3사 대리점들이 토요일 휴무를 시행하게 된다고 20일 발표했습니다
-
EU대사 "한.EU, FTA로 `윈-윈효과' 거둘 것" http://durl.me/apkje 서기 2011년 7월 1일 약 5억 5,000만 명의 시장이 통합(개방/5억 명+개방/5,000만 명)됩니다.
-
(프랑스) 이동통신사 고객들의 서비스 해지 사유는? http://t.co/geKECV1 via @withkcc 방송통신위원회 / 두루누리
-
@bstaebst 본격적 대선 활동으로 SNS를 적극활용한다 합니다.
-
네트워크 마케팅, 한국기업 무엇이 문제인가? http://durl.me/apodz 한.미 FTA가 발효되면 MVNO 정통 종합통신 네트워크 마케팅은 어떻게 될까요?
-
"@bstaebst: "갤스2, SKT 일부 유심칩과 호환 안돼 오류":http://t.co/Jrk4hxE 호환 오류로 폰 꺼지거나 앱 실행 안돼 / 고객 대상 공지 없어 AS센터 수차례 방문 등 불편"
-
"[기자수첩] 줄잇는 하우스푸어들의 '내 집 포기'":http://t.co/VnC9yiW
-
[도서] 나준호-공짜 경제학 http://durl.me/aajvn 2008년 9월 LG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해 국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던 <공짜경제 시대가 오고 있다>라는 보고서를 완전히 새로 고쳐 쓴 서적입니다.
-
RT @Better_Internet 스마트폰을 발판으로 시작된 소셜 열풍은 우리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죠? ^^ RT @bstaebst: 2030세대 10명중 6명은 ‘소셜네트워크족’ http://durl.me/ap5cz
-
SKT-방통위, MVNO 대량구매할인 '신경전' http://durl.me/aqspp 피처폰 시대와는 달리 애플과 구글, MS가 주도하는 스마트폰 시대에도 빨래줄 장사?(유·무선망)만 갖고 계속해서 통할까요?
-
@bstaebst 아직까지 MS가 주도한다고 말하기는 시기가 아니지 않나요??? Windows 시리즈의 성공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
@Gilhyun_Ko 구글은 컴퓨터의 기능 계층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왔으며(서비스→브라우저ㆍ플랫폼→OS), 마이크로소프트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갔다는(OS→브라우저ㆍ플랫폼→서비스) 점입니다..아이오에스, 안드로이드, 윈도우가 OS를 주도할 것입니다.
-
@bstaebst MS사의 독점적이었던 브라우저는 이미 파이어폭스등의 브라우저로 독점체제가 께지고 있고 모바일OS는 iOS와 안드로이드가 이미 시장을 장악하고 생태계를 조성한 형국에 후발주자인 윈도우가 생태계를 조성하고 성공할지는 미지수라고 생각됩니다
-
CIO가 알아야 할 ‘i클라우드’에 대한 10가지 http://t.co/Tc3AOdv
'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 > 트위터(기존 계정 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6월22일 Twitter 이야기 (0) | 2011.06.22 |
---|---|
2011년 6월21일 Twitter 이야기 (0) | 2011.06.21 |
2011년 6월19일 Twitter 이야기 (0) | 2011.06.19 |
2011년 6월18일 Twitter 이야기 (0) | 2011.06.18 |
2011년 6월17일 Twitter 이야기 (0) | 2011.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