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미국 전문가들, 김여정의 한미군사훈련 축소 요구에 “동맹 흔들려는 의도...목적 달성 어려워“

배셰태 2021. 8. 3. 11:12

미 전문가들, 김여정의 한미군사훈련 축소 요구에 “동맹 흔들려는 의도...목적 달성 어려워“
펜앤드마이크 2021.08.03 양연희 기자
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6392

“한미 입장 차는 문재인 정권을 미국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할 수 있어”
.

사진=연합뉴스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1일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중단을 촉구한 것에 대해 미국의 전문가들은 “한미동맹을 흔들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외교 접근법을 추구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특성과 연합훈련이 양국의 안보에 지니는 의미 등으로 볼 때 북한의 압박이 목적을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켄 고스 미 해군분석센터 국제관계국장은 2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북한은 문재인 정권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며, 이번 담화를 통해 한국과 미국이 서로 다른 의견으로 부딪히길 원한다”며 “한국과 미국의 입장 차이는 북한문제에 있어 성과를 내고자 하는 문재인 정권을 미국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할 수 있다”고 했다. 고스 국장은 “북한이 당근을 준 뒤 곧바로 채찍을 내놓는 모습을 자주 보여왔다”며 남북통신연락선 복원은 당근으로, 이번 한미연합훈련과 관련된 김여정의 압박은 채찍으로 해석했다.

조셉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도 VOA에 지난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북한의 입장에선 통신연락선 복원이 중대한 결정이었다며 이에 대한 대가로 북한은 미국과의 관계와 관련해 한국에 더 많은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에반스 리비어 전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VOA에 “북한과의 관여에 간절한 모습을 보이는 한국을 이용해 미국을 압박하고 이를 통해 한미연합훈련 축소 혹은 중단이라는 오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북한의 시도가 성공을 거두기는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클린트 워크 스팀슨센터 연구원은 VOA에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 끌려가는 듯한 상황에 처하기를 원치 않을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용인할 수 ‘있고 없고’를 결정하거나 미국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그는 “8월에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은 컴퓨터에 기반한 모의 방식이고 또 최근 몇 년간 미국과 한국이 진행한 훈련이 규모가 축소되거나 실제 기동이 이뤄지지 않는 방식이었다”며 “그런데도 김여정은 어떤 형태의 훈련이든 상관없이 거부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용인할 수 있는 주장이 아니다”고 했다.

고스 국장은 VOA에 “미국과 한국이 연합훈련 축소 등의 문제를 놓고 어느 정도 간극을 보이고 긴장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한국은 자신들의 국가안보가 미국과 연결돼 있다는 점을 깨달을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한국의 결정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이는 북한이 한국과의 협상을 꺼리는 요인”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일각에서 한미연합훈련의 중단을 통해 북한과의 대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를 일축했다.

리비어 전 부차관보는 연합훈련을 축소했지만 북한문제에 있어 진전을 이루지 못했던 과거의 사례들을 상기시켰다. 3년 전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미국은 동맹국인 한국은 물론 심지어 미군 사령관들과도 협의 없이 연합군사훈련을 축소하는 결정을 내렸지만, 지금은 3년 전보다 북한과의 대화에 더 가깝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고스 국장은 “바이든 행정부가 전임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전통적인 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북한이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자신의 국내와 외교 정책을 훼손하는 결정을 내리겠느냐”고 반문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사는 VOA에 “북한은 한국이나 미국으로부터의 양보를 조건으로 대화에 복귀해왔다”며 “그러나 미국과 한국은 물론 관련국들조차 특정 조건을 만들지 않은 상태에서 평화로운 해법을 논의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은 연합훈련 등 특정사안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곧바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