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조작 특검 불필요"…떠나는 윌리엄 바 법무부장관, 신변 위협 느꼈나?
파이낸스투데이2020.12.22 김진선 기자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758
바 법무, 바이든 차남 특검도 선그어…러시아 해킹에 무게두며 트럼프와 이견
사실상 현직 장관 마지막 공개석상서 작심발언
.
퇴임을 이틀 앞둔 윌리엄 바 미국 법무장관이 대선조작과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차남에 대한 특검 임명이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특검 임명을 원하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상 마지막 회견을 통해 찬물을 뿌린 셈이다. 특검 임명 권한은 법무장관에 있다.
워싱턴포스트(WP)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바 장관은 21일(현지시간) 오전 1988년 발생한 팬암기 폭파사건 용의자 기소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23일로 장관직에서 물러나는 바 장관으로서는 현직 법무장관 신분으로 마지막 공개석상에 선 셈이다.
당연히 대선조작 의혹 및 바이든 당선인 차남 헌터의 납세 수사와 관련한 질문이 쏟아졌다. 둘 다 트럼프 대통령이 비상한 관심을 보이는 사안이다.
바 장관은 대선결과를 뒤바꿀 정도로 구조적이거나 광범위한 선거사기 증거가 없었다면서 "현 시점에 특검이 올바른 수단이고 적절하다고 생각했다면 임명을 할 텐데 그러지 않았고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헌터에 대한 특검 임명 여부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특검을 임명할 이유를 보지 못했고 떠나기 전에 그럴 계획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바 장관은 연방검찰이 헌터에 대한 조사를 책임감 있고 전문적인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도 수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퇴임을 목전에 둔 바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타격을 주는 발언을 하고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은 신변의 위협을 느낀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렇지 않다면 굳이 떠나는 입장에서 현 정부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할 이유가 없다는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음모론 제기로 캠프 법률팀에서조차 배제된 시드니 파월 변호사를 대선조작 특검에 앉히는 방안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충복 중 충복이었던 바 장관은 이달초 AP통신 인터뷰에서 대선사기를 부정하는 발언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를 샀다. 여기에 헌터에 대한 수사가 대선 기간 공개되지 않게 조치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경질될 거란 관측이 많았다.
"결국 윌리엄 바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 보다는 바이든 쪽이 자신의 향후 운명에 이로울 것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미국 대선] 트럼프, 경합주 소송에 대해 평가 “승리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 (0) | 2020.12.22 |
---|---|
■■[2020 미국 대선] 피터 나바로 “미시간주에서 37만 7천표 이상 불법 투표 이뤄졌다”■■ (0) | 2020.12.22 |
◆◆[세뇌탈출 ]트럼프, 계엄령 없다!...'닭(중공과 손잡은 부정선거 범죄)' 잡는 데 '소잡는 칼(계엄)' 필요 없다!◆◆ (0) | 2020.12.21 |
■■[2020 미국 대선] 마이클 플린 장군(예비역 육군 중장) “외국 정보기관, 미 대선 모니터링…트럼프에 ‘정보’ 제공 용의”■■ (0) | 2020.12.21 |
■■[2020 미국 대선] 줄리아니, 포렌식 감사허용 촉구 “트럼프 승리 입증할 것”■■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