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미국 상원의원들 "북한, 관심 받으려 떼쓰는 중…'강경한' 관여 유지해야"

배세태 2019. 8. 1. 07:05

미 상원의원들 "북한, 관심 받으려 떼쓰는 중…'강경한' 관여 유지해야"

VOA 뉴스 2019.08.01 이조은 기자

https://www.voakorea.com/a/5023826.html

 

마이크 라운즈 공화당 상원의원

 

미 상원의원들은 북한이 또다시 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전 세계의 관심을 얻기 위한 도발을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미국은 계속 대화와 압박을 병행해야 하지만, 지속되는 도발에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중략>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북한이 엿새 만에 또다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놀랍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지난 25일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 두 발을 쏘아 올렸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반응입니다.

 

공화당의 마이크 라운즈 상원의원은 31일 VOA에, “북한은 관심 받고 싶어 계속 반항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중략>다만, 북한이 발사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묘사한 “소형 미사일”이라기보다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말하는 게 타당할 것이라면서, “여전히 핵무기 탑재 역량이 있는 것들”이라고 밝혔습니다.

 

<중략>

 

라운즈 의원은 “단거리 미사일은 미국에 대한 위협은 아니지만 역내 동맹국에 대한 위협이기 때문에 미국도 가볍게 생각하진 않지만, 미국은 이번 일이 북한 행동 방식상의 문제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북한은 떼를 쓰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공화당 소속인 제임스 인호프 군사위원장도 북한의 이번 발사를 “계속되는 도발”로 규정하면서, “김정은의 방식일 뿐”이라며 절제된 반응을 보였습니다.<중략>현재 대부분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진지한 협상이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사이에 벌어지고 있고, 북한의 이런 미사일 발사가 협상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대답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뿐이라는 겁니다.

 

의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계속해서 대화와 압박을 병행해야 하지만, 북한의 이런 행동에 대해서는 더 강경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의 팀 케인 상원의원은 미국이 대화의 끈을 놓아선 안 되지만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선 매우 회의적이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솔직하게 터놓고 (협상 노력이) 효과가 없다고 말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중략>트럼프 대통령은 두 차례의 미-북 정상회담에서 있었던 일을 “과대포장”했는데, 무언가 얻은 쪽은 미-한 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얻어낸 북한일 뿐이라는 주장입니다.

 

공화당의 조쉬 하울리 의원도 “미국은 북한에 계속해서 강경해야 한다”며,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가야 한다는 점을 계속 분명히 하고, 관여의 길을 유지하면서도 강경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중략>

공화당의 댄 설리번 의원은 전 세계가 관심을 주지 않을 때 도발 행동을 하는 것은 북한 김 씨 정권의 행태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미사일 발사에 미국은 “최고 수준의 제재를 유지하고, 미국의 동맹국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 김정은까지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약속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중략>설리번 의원은 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미사일도 요격할 역량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할 것”이라며 “미국이 엄청난 수준으로 보복할 것이라는 점을 북한은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원장인 코리 가드너 공화당 의원은 북한은 비핵화 의향이 전혀 없다며, 국제사회가 북한에 더 많은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갔습니다.<중략>가드너 의원은 김정은 위원장이 국제법과 자신이 한 약속을 지키도록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제재 이행을 통해 북한에 최대 압박을 가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