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트럼프,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어”●●

배세태 2019. 3. 8. 05:44

볼튼 보좌관 "트럼프, 북한과 추가 대화에 열려 있어"

VOA 뉴스 2019.03.08  이연철 기자

https://www.voakorea.com/a/4817154.html


존 볼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큰 그림’을 살펴볼 준비가 되면 합의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존 볼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이 말했습니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수용할 준비가 돼 있지 않을 경우, 기존 제재를 유지하고 새로운 제재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략>

 

볼튼 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다시 대화하는 것에 열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략>

 

볼튼 보좌관은 7일 폭스뉴스 방송의 ‘폭스 앤드 프렌즈’에 출연해, 언제 일정이 잡힐 지, 어떻게 해결돼 갈 지 지켜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큰 그림을 살펴볼 준비가 된다면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볼튼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몇 시간을 보내면서 올바른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올바른 합의는 매우 밝은 경제적 미래를 대가로 하는 북한에 의한 비핵화라고 강조하면서, 북한이 거기까지 가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매우 광범위한 제재 해제의 대가로 핵과 생화학 무기,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가능한 한 거의 포기하지 않으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미국이 원하는 것은 빅딜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에 밝은 미래를 가져다줄, 그러나 완전한 비핵화로 귀결될 빅딜을 원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이야기했다는 설명입니다.

 

<중략>

 

볼튼 보좌관은 하노이 정상회담 때 북한이 미국을 협상 테이블에 붙잡아 두기 위해 최후의 시도를 했다고 하는데 당시 상황을 설명해달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북한의 마지막 시도가 있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대답했습니다. 이어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입장을 아주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 복구 움직임과 관련해서는, 지금 단계에서는 말할 입장에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분명히 정보를 확보하는 많은 방안들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 상황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대로, 만일 북한이 이 방향을 택한 것이라면 매우 실망스러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볼튼 보좌관은 6일 보스턴 헤럴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진정으로 수용할 준비가 돼 있지 않을 경우 기존 제재를 유지하고 집행을 강화하면서 새로운 제재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중략>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을 위해 일종의 대기 상태(waiting mode)에 있다며, 하노이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스스로를 돌아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볼튼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에서 북한을 위해 문을 열어 놓고, 북한에게 비핵화를 하면 세계와 다른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주민들을 위한 경제적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한 사실을 상기시켰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도 그 문을 열었고, 아직도 그 문이 열려 있다며, 하지만 북한이 어느 시점에는 그 문으로 걸어 들어와야만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중략>

 

볼튼 보좌관은 나쁜 합의 보다는 합의 결렬이 더 낫다며, 미-북 정상회담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실패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부분적인 핵 프로그램 폐쇄를 대가로 경제 제재의 대부분을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이는 북한을 위한 혜택을 먼저 앞에 놓고, 미국과 전 세계를 위한 핵무기 프로그램의 제거를 뒤에 두는 방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볼튼 보좌관은 그 같은 방식은 좋은 합의가 아니라며, 심지어 하노이로 가기 이전에 그 점을 분명히 했지만, 북한이 그 이상 제안할 용의를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중략>

 

하지만 볼튼 보좌관은 하노이 정상회담이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끝난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기반으로 다시 돌아올 준비가 돼 있는지 볼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김 위원장과 대화할 용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략>


볼튼 보좌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미치지 못하는 합의를 원치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이전 행정부들과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게 이 점을 분명히 했다며, 북한이 무엇을 들고 돌아올 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하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