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소셜네트워크 품앗이 서비스(SNC)`가 찾아온다

배셰태 2010. 12. 14. 13:12

**온라인과 오프라인 넘나드는 소셜네트워크,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C’는 소셜커머스 시장의 신선한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셜머니, 소셜품앗이? 보다 진화된 소셜네트워크 'SNC'가 온다

아이비타임즈 IT/과학 2010.12.13 (월)

 

'소셜네트워크 품앗이 서비스(SNC)'가 찾아온다

OSEN 생활/문화 2010.12.13 (월)

 

▶세계 최초 내년 3월 오픈 베타 형태로 국내 출시, '버니닷컴'

 

2005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일반 상거래를 접목시킨 신개념으로서 이용자 중심으로 블로그, UCC,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서 거래가 이뤄진다. 이러한 플랫폼은 리빙소셜, 길트 등 다양한 업체들이 생겨나면서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비즈니스 모델이 됐다.

 

이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활성화 되어가는 가운데 기존의 전자상거래 내지 트위터의 중고장터, 티켓몬스터의 소셜 공동할인구매 등의 소셜커머스와는 상당히 다른 형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SNC’가 선보일 예정이다. 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계의 신선한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및 웹 서비스 S/W개발 및 공급 회사인 ‘㈜성훈정보통신(www.shinfonet.co.kr, 대표 박주연)’이 선보일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C’는 Social Network Currency for communal sharing of labor 및 Social Network Communal sharing of labor의 합성어로써, ‘소셜머니’와 ‘소셜품앗이’가 결합된 형태의 소셜머니 기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한 교환상거래 시스템의 약자다.

 

새로운 ‘SNC’서비스 플랫폼은 ‘Buniie.com(버니닷컴)’에서 제공하며, 세계 최초로 2011년 3월 초 오픈 베타 형태로 한국에서 먼저 출시한다. 이 ‘SNC’서비스는 ‘소셜머니’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유저의 실시간 상호협동 및 능력교환 활성화를 위한 품앗이 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 장 및 정책과 제도를 제공한다.

 

특히 세계 최초 ‘SNC’서비스 플랫폼인 ‘Buniie.com’에서 통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공동체화폐’인 ‘소셜머니’는 실제 우리 경제 및 활동공간에서 ‘지역대안화폐’라고 불리는 시스템과 우리 민법상 증여계약의 특수한 형태인 ‘기부 제도’를 근간으로 하여 발전된 새로운 형태의 ‘가상경제 대안화폐 시스템’이다.

 

아울러 서비스적 관점에서 ‘소셜머니’는 지역대안화폐 구조와 실제 국가발행통화 시스템하에서의 기부금 제도가 융합된 형태의 화폐로서 이는 온라인 영역인 인터넷을 공간으로 하여 화폐를 발행하거나 오프라인 형태로서 화폐를 발행하여, 사용자 상호간의 상거래 활동을 통하여 발생하게 되는 기존 화폐의 지출비용을 대체하거나 함께 혼용하여 유통할 수 있는 형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즉 ‘Buniie.com’ 서비스에서는 오프라인 상의 지식 노동력 및 육체적 노동력 또는 온라인상의 지식 노동력과 오프라인상에서의 상품 및 제품의 교환 내지 온라인상에서의 상품 및 제품의 교환을 ‘SNC’플랫폼을 수단적 도구로 하여 상호간에 실시간 유기적으로 안전하고 긴밀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해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소셜커머스의 거래 대상은 모두 ‘상품 내지 제품’에 국한하고 있는데 반해 ‘SNC’에서는 상품, 사용자가 보유한 지식 노동력 및 오프라인상의 육체적 노동력을 모두 서비스 내에서 거래의 객체로 할 수 있다는 점과 거래의 대상인 재화와 용역 제공 주체가 사업자 일방이 아닌, 구매자 역시 이와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 재화와 용역의 주체로서 상대방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재화와 용역을 상호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이러한 거래과정에서 그 급부의 대가로 반드시 현금으로 지불하는 형태가 아닌 거래자 상호간에 일정의 현금과 기부의 성격을 띤 소셜머니를 함께 통용함으로써 재화와 용역제공의 대가인 현금화폐와 소셜머니 소유권을 제공자가 함께 취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