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청와대 탄저균 백신 구입 논란] 세명만 항체 검사를 해보자...문재인, 문정인, 임종석

배세태 2017. 12. 25. 20:21

※청와대 탄저균 백신 구입 논란

 

탄저균 백신 구입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다. 좌우를 떠나서 또 호불호를 떠나서, 유사시 컨트롤 타워를 건재케 하기 위한 대책 마련은 지극히 당연하다.

 

분노를 느끼고 거듭 실망하게 되는 것은, 문재인과 좌빨들이 숨쉬듯 배설해왔던 말이 '소통'이었다는 사실이다. 문재인의 유사정부는, 6.25 사변이후 한반도 최대의 위기 상황에서도 변명과 핑계로 일관하고 있고, 문재인의 지지자들은 억지논리로 이를 두둔하기에 여념이 없다.

 

국민의 눈과 귀를 막아, 위기를 감추고 있다는 것이다. '백신접종' 뉴스를 보도한 언론사를 상대로는 소송도 주저하지 않겠다고 하니, 심지어는 입도 막고 있는 상황이다.

 

대량살상무기란, 비단 핵만 있는 게 아니다. 오히려 핵의 경우엔 사회 시설을 파괴한다는 점에서 우월할 뿐, 살상력은 비교적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대량살상무기는 핵무기, 생물학무기, 화학무기를 통칭하는 것이고, 이중 가장 강력한 살상력을 가진 것이 바로 생물학무기인 '탄저균'이다.

 

대표적인 세가지 감염 경로별 치사율을 따져보면,

피부접촉을 통한 감염 - 20%

음식물섭취를 통한 감염 - 60%

호흡기를 통한 감염 - 95%

 

과거 문재인은 스스로 탄저균의 치사율이 95%라고 밝힌 바가 있는 만큼, 절대 틀린 수치는 아닐 것이다.

 

위 감염경로와 치사율을 감안해 보면, 한가지 결론이 나온다. [대비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물론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죽을 확율이 대단히 높다.

 

유사정부는, 전 정부(박근혜 정부)에서 추진되어 오던 사업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탄저균 백신 구입 소식 이후,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달라지는 유사정부의 해명은 분명 의혹을 키우고 있다.

 

그렇다면, 유사정부는 세가지 답안 중 하나를 선택해서 소명해야 한다.

 

1. 김부겸의 말과 같이, 위기를 조장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슈 확산을 원하지 않는다.

2. 북한의 생물학 무기 테러가 우려되자, 마침 전 정부의 사업이었던 백신을 구매했는데, 이를 통해 전 정부의 위기대응 '공'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3. 첩보건 내통이건 간에, 사전에 탄저균 발사 실험을 인지하여 대비한 것이다.

 

김부겸의 발언을 통하여 1번은 이미 확정되었으므로 3번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 3번이 이유였다면, 1번의 병신 짓을 할게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으로 국민과 소통하며 '위기인식'과 동시에 '사회안정'을 도모해야 했음이 옳기 때문이다.

 

설마.. 2번은 아니겠지만, 그렇다면.. 이들은 절대 권력을 쥐어선 안되는 집단이 된다. 뭐.. 존재 자체가 암이긴 하지만.. 아무튼, 정치적 입지를 위하여 국민을 죽음으로 내모는 것과 다름이 없다.

 

놀라운 것은, 유사정부가 정권을 탈취하고 국민을 인질로 삼은 후, 대한민국의 신세는 기울어진 세월호와 너무나도 같다는 사실이다.

 

유사정부와 김부겸의 '위기조장' 발언은, 세월호 이준석의 '움직이지 말고 대기하라'는 개소리와 100% 일치한다.

 

언론의 문비어천가도 대단히 역겹다. 유사정부의 탄저균 구입 요청서에는 분명 '치료'목적으로 명기되어 있는데, 탄저균 치료제는 이미 국내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가된 국내 치료제가 없으므로"라며 수입 구매를 요청하고 있다.

 

언론과 유사정부의 변명을 해석하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이다. 탄저균 쳐맞고 백신 쓰겠다는 것 아닌가?

 

 

몇가지 합리적인 의심을 가져보자.

 

1. 논란이 확산되자, 유사정부는 국민 치료용으로 1000명 분의 백신을 '모처'에 보관중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는 유사정부가 구매한 것인가? 아니면 전 정부가 구매한 것인가?

 

2. 탄저균 백신 구매를 요청한 날짜는 올해 6월 6일 현충일이었다. 구매결정까지의 소요 시간을 감안하면, 5월 10일 유사정부 출범 직후부터 대비했다는 것인데, 어떤 '정보'를 기반한 것인지 밝혀야 한다.

 

3. 치료제와 백신은 분명히 다르고, 치료제의 경우엔 여러형태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다. 모호함을 유도하여 선동하기 위함이 아닌가? 500명 분에 이어 보관중이라는 1000명분을 다 더해도, 현재 청화대 직원 수인 1700명을 다 접종시키지는 못한다. 이게 진정 국민 치료용이라고 할 수가 있나?

 

4. 예방 접종 보도를 악의적 오보로 특정하여 법적 대응도 주저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딱 세명만 항체 검사를 해보자. 문재인, 문정인, 임종석.

 

중앙정부에서 내려오는 지자체 예산은, 각 항목별 남는 예산은 반환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연말이 되면, 쓸데없이 보도블럭을 뒤집어 까기도 하고, 멀쩡한 펜스를 교체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산책로에 아스팔트를 쳐깔기도 한다. 가로수를 다시 심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비용이면, 국민과 군에게 백신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문재인이 정말 국민 안전을 위하는 지도자라면, 국민에게 사정을 제대로 설명하고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미군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굶어 죽어가는 북한군 조차도 맞는다는 탄저균 백신을 우리군이 접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결코 이해할 수 없다.

 

예산이 문제라면, 소득수준으로 구분지어 유상/무상으로도 접종할 수 있고, 이런 것이야 말로 계층을 초월하여 대국민 화합의 좋은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번 기회에, 부자증세를 대신하여 소득순위 상위계층 1명당 약 10명 분의 비용으로 백신을 접종케하고 그 비용으로 저소득층 백신 접종을 계획해 보는 것은 어떤지 묻고 싶다. 최저임금 인상 대신에 기업으로 하여금 근로자에게 각종 백신 접종을 제공하게 해도 좋고, 법인세 인상을 대신하여 대기업들에게 백신 구매 비용을 일부를 부담시켜도 좋지 않을까?

 

약 100조원이 들어간다는 신재생에너지(고오염물 배출 에너지) 사업 따위는 포기하고 국민안전을 담보할 수있는 비용으로 쓰는 건 또 어떤가? 이건 분명 '누군가'의 이권을 보장하는 사업일 텐데? 그렇다면 특정 이해관계 인의 부를 위하여 국민 안전을 등한시는 하는 것과도 다름없다.

 

 

한가지는 확실하다.

 

차후, 북한의 도발로 우리 국민중 단 한명이라도 사상을 입는다면, 그것은 '안보(위기)불감증'을 대놓고 주문한 유사정부에게 모든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탄저균은 가루로 되어있다. 별도의 기폭장치가 없어도 바람 좋은 날에, 무인기를 통하여 유리병, 플라스틱상자 등에 탄저균을 넣어 떨어트리기 만해도 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것이다.

 

100Kg으로 300만명이 죽을 수도 있다고 한다.

 

역사상 가장 악질적이고도 가장 멍청한 인질범에게 대한민국이 사로잡혀 버렸다.

 

출처: 추성경 페이스북 2017.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