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미국 전략자산, 한꺼번에 북한의 '김정은·핵시설' 폭격한다면?

배셰태 2017. 3. 5. 09:25

美전략자산, 한꺼번에 '김정은·北핵시설' 폭격한다면?

뉴스1 2017.03.04 홍기삼 기자

http://news1.kr/articles/?2926923&view=pc

 

김정은 제거위한 다양한 작전 시나리오는 '극비'

 

미군의 전략무기인 F-22 랩터 스텔스 전투기가 지난해 2월17일 경기도 평택시 오산공군기지 상공을 날고 있다. 2016.2.17/뉴스1

 

매년 정례적으로 실시되는 한미연합훈련인 독수리훈련이 지난 1일부터 시작돼 내달까지 진행되는 가운데 올해 미국의 어떤 핵억제 전략자산들이 한반도에 전개될 지 관심거리다.

 

이미 지난해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도발 등을 계기로 B-52 전략폭격기와 B-1B 랜서, F-22 스텔스 전투기 등이 한반도로 날아와 무력시위를 전개한 바 있다.

 

<중략>

 

이번 한미연합훈련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진 또다른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도 비장의 무기다.

 

<중략>

 

이렇듯 북한 핵과 탄도미사일을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미국의 전략자산은 말로만 들어도 가공할 위력을 가지고 있다. 유사시 이 무기들은 어떻게 북한의 주요시설들을 파괴할까. 이들 무기들의 제원들은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이들 전략자산들이 전시에 어떻게 작전을 펼치는 지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이 추측만 난무한 편이다.

 

이들 전략자산들이 유사시 어떻게 효율적으로 임무를 나눠 실제로 기동하는지는 한미연합사령부와 미군의 극비 작전계획에 모두 반영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들 무기들이 유사시 매우 다양한 시나리오와 형태로 한반도에 전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략자산이 실제 작전에 투입되기 전, 가장 중요한 판단 요소는 '목표물 확보의 신빙성'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목표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투입되는 전략자산이 달라진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중략>

 

북한 내 여러 곳에 흩어진 핵시설을 한꺼번에 파괴하기 위해선 B-52, B-2, B-1B 랜서 등이 동시에 날아가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도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하전략

==============================

[관련기사 참고요]

■[핵확산금지조약(NPT)] 북한의 '핵보유국' 착각...파키스탄과 다르다

한국일보 2016.09.14 송용창기자

http://blog.daum.net/bstaebst/18477

 

북한의 실제 핵능력과 핵보유국 인정은 차원이 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NPT 체제의 구속력, 그리고 NPT체제의 유지 여부와 직결돼 있기 때문입니다.

 

눈여겨볼 것은 파키스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받은 적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유엔 제재, 즉 국제사회 전체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것일까요. 북한은 중요한 출발선에서부터 파키스탄과 다른 것입니다. 북한이 모델로 삼아야 하는 나라는 파키스탄이 아니라 이란입니다.

 

1970년 NPT가 발효된 이후 NPT 가입국 중 NPT에서 탈퇴한 나라가 없고, 비핵보유 가입국 중 핵보유국으로 인정된 나라도 한 곳도 없는 것입니다. 현재 NPT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90개국이 가입해 있습니다.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외에 다 가입해 있는 것입니다.[요약]

 

■한반도 전쟁위기 고조…미국 ‘4개 핵항모’ 갖춘 막강 3함대 전진배치

헤럴드경제 2017.02.26

http://blog.daum.net/bstaebst/19906

 

미국 서부 해안을 관할하는 미 해군 3함대가 북한 핵 위협에 따른 한반도 분쟁 가능성에 대비해 구축함 등 최신예 전력을 서태평양 지역으로 전진 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반도를 담당하는 7함대가 한반도 유사 사태에 전념할 수 있도록, 3함대를 7함대 관할 해역인 서태평양 지역에 전진배치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매우 위험하고 용납할 수 없는 것(very dangerous and very unacceptable)”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한 것과 맞물려 향후 미국의 군사적 대응이 주목된다.[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