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모든 게 연결되는 시대 ‘5G가 온다’...인텔은 어떻게 준비하나

배셰태 2016. 7. 16. 11:02

모든 게 연결되는 시대 ‘5G가 온다’

지디넷코리아 2016.07.15 김우용 기자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60715161910

 

인텔은 5G 네트워크를 어떻게 준비하나

 

인텔의 5G 전략은 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개발업체, 단말 및 무선접속장치 제조사, 시스템통합사업자 등과의 전방위 협력을 전제한다. [출처=http://blogs.intel.com]

 

이동통신시장에 5G 경쟁이 불붙었다. 과거 이동통신기술의 진화가 전화서비스 가입자 증가에 대응하는 대역폭 확대와 속도 향상에 집중됐다면, 5G는 지금보다 33배 빠른 속도와 함께 더 큰 그림의 변화를 예고한다.

 

전통적인 이동통신은 사람의 소통수단에 속했다. 그러나 5G 시대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과 사물이 거대한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5G 네트워크가 모든 파이프의 모체 역할을 할 것이란 표현도 나온다.

 

5G 네트워크는 막 기술 표준화 작업에 돌입한 상황이다. 3GPP, IEEE 같은 이동통신기술 표준화단체에 각국의 서비스사업자와 제조사, 국가기관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그 와중에 과거 LTE냐 와이맥스냐 같은 기술 논쟁은 그리 크지 않다. 오히려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가 큰 그림에서 하나로 통합돼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센서, 도시, 자동차, 가전제품, 제트 엔진, 풍력 발전, 농업, 병원, 공장 그리고 사람들이 5G 네트워크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통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5G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및 IoT기기 숫자와 서비스들의 거대한 증가 속에서 전보다 더 큰 대역폭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각 기기 간 통신은 증가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던 산업의 연결로 인해, 오늘날보다 약 1만 배 이상의 큰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5G 네트워크는 크게 두 갈래 측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 하나는 인프라, 다른 하나는 디바이스다.

 

인프라는 전면적 변화를 이미 보이고 있다. 기지국으로 알려진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모바일 코어(EPC), 백홀 등이 ‘네트워크기능가상화(NFV)’란 새로운 방식을 받아들였다.

 

5G 네트워크는 헤테로지니어스라 표현되는 다양한 망과 서비스를 포괄하게 될 것이다.

 

<중략>

 

과거 통신 인프라는 x86 아키텍처와 클라우드 기술 기반의 NFV로 변화하고 있다.

 

<중략>

 

또 다른 축 디바이스 측면에서 인텔은 올해 MWC에서 5G 모바일 플랫폼을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모바일 기기, 서비스 개발회사가 빠르게 5G 기기와 무선 공유기를 제작하게 도와준다.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모뎀칩에서 IoT에 적합한 제품, 모든 LTE 카테고리를 지원하는 모뎀, M2M 전용 LTE 모뎀, LTA-A 연결을 지원하는 모뎀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각국의 통신서비스회사들은 세계 최초 5G란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한국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5G 네트워크를 접목하려는 노력을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