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위안화 올라타자”… 원화 국제화 추진 속도낸다
한국일보 2015.12.01(화) 이영창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469&aid=0000111272
http://www.hankookilbo.com/v/c9434e462884495096db9b3e2b346f1a
위안화 기축통화 편입
기재부 “원ㆍ위안 환율 직접 환산”
중개수수료 절반 가량 낮춰질 듯
위안화 표시 외평채 연내 발행
세계 3위 中 채권시장 진출 발판
내년엔 상하이 직거래 시장 개설
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바스켓 안에 편입되어 세계 3대 통화에 등극하면서, 위안화를 적극 활용하려는 한국 정부 움직임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위안화 위상 강화를 등에 업고, 원화를 국제화하려는 시도도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최희남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은 1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원ㆍ위안 직거래시장 1주년 기념 컨퍼런스에 참석해 “원ㆍ위안 환율 산출이 내년부터 재정(裁定)환율에서 직거래시장의 시장평균환율로 바뀐다”고 밝혔다.
재정환율은 한국과 특정국가 통화의 환율을 산출할 때 미 달러화 등 제3국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원화를 달러화로 환산한 다음, 다시 그에 해당하는 달러를 위안화로 환산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시장에서 결정되는 원화와 위안화 직접 거래 환율로 바꾸겠다는 뜻이다.
<중략>
원화를 국제화하려는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질 전망이다. 그 동안 정부는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가 국제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면 환투기의 대상이 돼 자본유출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해 왔다. 그러나 내년 상반기에 중국 상하이(上海)에 원ㆍ위안 직거래시장을 개설하는 등 국제화를 용인하는 쪽으로 정책을 선회했다. 원화가 국제적으로 통용되어 무역거래에서 원화로 결제하는 비율이 늘면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상하이 직거래 시장의 진행 상황을 봐 가면서, 단계적으로 원화의 국제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실제 위안화가 한국이 기댈 만한 기축통화(국가간 결제 및 금융거래 중심이 되는 통화)로까지 등극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학균 대우증권 투자분석부장은 “중국 거래 비중이 많은 한국 입장에서 위안화 거래 확대는 실보다 득이 많다”면서도 “영국 파운드가 경제력과 상관없이 기축통화로 남아 있을 정도로 관습이 쉽게 바뀌지 않는 점,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려면 돈을 밖으로 퍼내야 하는데 중국은 경상수지 흑자 때문에 그러기 쉽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고령화] 한국, 50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1000만 시대의 그림자 (0) | 2015.12.02 |
---|---|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 "보다 나은 세상 만드는데 52조원 기부할 것" (0) | 2015.12.02 |
중국 위안화, 용틀림 '3대 기축통화로 부상'…달러화와 통화전쟁 ‘서막’ (0) | 2015.12.01 |
중국 위안화, ‘세계 3대 통화’ 지위 획득…달러패권에 본격 도전장 (0) | 2015.12.01 |
한국 정부, 한·중 FTA 효과 극대화 대책 본격 가동 (0) | 2015.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