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비용 제로 사회•한계비용 제로 경제◀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협동조합(생산자), 사회적 기업 등 공유경제와 프로슈머 부상
2차 산업혁명의 동력들, 화석연료나 원자력 등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3차 산업혁명의 도입기에 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세계의 각 요소들이 모두 연결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가 활성화되면서 모든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공유될 것입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프로슈머가 될 수 있고 데이터 마이닝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한계비용 제로 단위에서 모든 사람들이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태양열이나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 가격이 스마트폰 못지않게 떨어질 것입니다. 태양이나 바람이 우리에게 청구서를 보냅니까? 아뇨, 태양열이나 풍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간 설비를 일단 갖추기만 하면 이후 한계비용은 제로에 가까워질 겁니다.
이런 전환을 과거의 기득권층은 바라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석탄이나 석유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싸움을 벌였던 그들 말입니다. 하지만 태양열이나 풍력은 어디에서나 누구나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미래에는 권력관계 구조가 바뀔 겁니다. - 제레미 리프킨, 2014.10.13(월) 교보문고 강연회
배세태의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레미 리프킨 “한국은 한계비용 제로 시대 진입” (0) | 2014.10.16 |
---|---|
미국 디지털 뉴스 구독자, 웹에서 모바일로 이동 (0) | 2014.10.15 |
사물인터넷(IoT) : 자본주의의 미래를 묻다 (0) | 2014.10.15 |
제레미 리프킨 "사물인터넷(IoT) 통해 제3차 산업혁명 도래할 것" (0) | 2014.10.14 |
올리비에 블랑샤르 "누구나 기업가 될 수 있도록 창업 활성화시켜야" (0)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