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늘다보니 인터넷에도 개인정보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이 편리한 만큼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바로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을 통한 사생활 침해 사례입니다. 블로그나 트워터, 카페 등을 통해 내 개인정보가 주변에 알려지고 있다는 생각, 해본 적 있으신가요?
인터넷에서는 조각난 정보를 모아 개인에 대한 종합 정보를 구축하는 ‘프로파일링(profiling)’이 가능합니다. 그 사람이 누군지는 물론이고 인터넷에서 활동해온 이력들을 클릭 몇 번으로 손쉽게 밝혀낼 수 있죠. 국내의 대다수 포털에서는 이용자별로 남긴 댓글을 누구나 쉽게 조회할 수 있는데요. 특히 실명으로만 글을 쓸 수 있는 포털의 경우, 인터넷 실명제를 기반으로 이용자별 댓글을 묶어서 보여주는 서비스를 통해 프로파일링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프로파일링은 이미 공개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문제를 삼을 수 없죠.
휴면 홈페이지는 해커들의 먹잇감
국내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kr도메인 수는 지난 2005년 64만 2770개에서 지난해 말 106만 4179개로 늘어났는데요, 이에 따라 관리자 로그인이나 외부접속이 없는 휴면 홈페이지도 상당수 존재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휴면 홈페이지는 지속적인 관리가 없다면 해커들의 표적이 될 수도 있는데요. 악성코드가 유포되거나 해킹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는 것이죠.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은 카페, 블로그 등에서 발생하기 쉬운데요. 특히 카페는 이름이나 직업, 휴대 전화번호 등이 노출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카페 관리자가 회원 가입조건으로 개인정보를 적도록 했는데 게시판 권한 설정을 잘못해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나, 정회원만 읽을 수 있는 게시판을 외부인이 로그인 없이 접속해 보게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 등이 그렇죠.
방통위, 휴면 홈페이지 정리하는 호스팅업체에 기술지원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선 이용자들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텐데요. 무엇보다 회원가입한 뒤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휴면 블로그나 사이트 등을 탈퇴해 온라인 활동을 정리해두면 피해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8월말까지 장기간 방치되는 휴면 홈페이지 등을 정리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죠. (일부 지자체에서는 보안을 위해 자체 사이트 내에 구축된 커뮤니티와 계정을 삭제하기도 합니다)
방통위는 현재 주요 포털사이트와 호스팅업체, 교육기관들과 협조해 휴면 홈페이지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용자들이 이를 자발적으로 정리하도록 하는 공동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개설한 뒤 이용하지 않는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정리하고, 활동하지 않는 카페는 탈퇴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방통위는 이를 위해 호스팅업체가 휴면 홈페이지를 정리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기술지원과 웹 보안강화 교육 등의 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라고 하네요. 또한 일선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경우 매년 학기나 학년마다 제작돼 사후 관리가 되지 않는 홈페이지를 정리하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사이트마다 다른 ID·비번 헷갈린다면? ‘패스워드 관리 프로그램’
수치상의 고객들이 줄어드는 것을 우려해 홈페이지 정리에 소극적인 사업자들도 있을 텐데요. 사이버 안전과 깨끗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동의한다면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겠죠? 개인 이용자들의 경우 휴면 홈페이지의 위험성을 알고 자신이 가입한 카페나 블로그 등을 하나씩만 줄인다면 온라인상에 노출된 불필요한 정보들을 정리할 수 있겠네요.
아울러 현재 가입한 사이트에는 가급적 같은 ID와 비밀번호를 쓰지 않는 게 좋은데요. 수십 개나 되는 사이트마다 다른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게 번거롭다면, ID와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관리해주는 ‘패스워드 관리 프로그램’을 추천해드립니다. ‘알패스(www.altools.co.kr)’나 ‘이지패스(easypass.secutronix.com)’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요. 무료 소프트웨어인 데다 프로그램도 꽤 쓸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니 한 번 써보셔도 좋을 듯 싶네요.
정책공감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하여 공지사항 내 "정책공감 블로그 댓글정책"을 참조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책공감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AdSense] (0) | 2010.07.15 |
---|---|
애드워즈[AdWords] (0) | 2010.07.15 |
SKT, 데이터무제한m-VoIP도입 ‘요금 확 줄인다’ (0) | 2010.07.15 |
스마트 TV가 세상 바꾼다…5대 新풍속도 (0) | 2010.07.15 |
세계는 크라우드 소싱이 대세..소셜소싱으로의 진화 (0) | 2010.07.15 |